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지카 바이러스

Zika virus

신생아의 소두증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이러스. 1947년 우간다 지카(Zika) 숲에 사는 붉은털 원숭이에서 바이러스가 최초로 확인되었고, 인체감염사례는 1952년 우간다와 탄자니아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매개체
이집트 숲모기(Aedes aegypt)가 주된 매개체 이나 뎅기열 등의 전염병을 매개하는 아시아산 흰줄숲모기도(Aedes albopictus)도 전파가 가능하다.
수혈로 인해 감염된 사례는 아직까지 없지만 가능성은 높으며 성 접촉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염된 사례는 있으며, 감염회복 후 2달까지 정액에서 바이러스가 확인되고 있다.

*증상
감염된 모기에 물리면 3~7일이 지나 증상이 시작되며 최대 잠복기는 2주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발열, 발진, 관절통, 눈 충혈이 있다면 감염을 의심해야 한다. 근육통, 두통, 안구통, 구토도 나타날 수 있다.

임신한 여성이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두뇌가 성장하지 못하는 소두증에 걸린 아이가 태어날 가능성이 있다.
소두증 상태에서는 정신지체가 되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 까지 한다.

*대처법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환자가 80% 정도이다. 증상은 대부분 가벼운 편이라고 한다. 휴식을 충분히 취하면서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다. 완치 후 최소 1개월 동안은 헌혈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부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지카 바이러스가 나타난 국가로의 여행을 미뤄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지카 바이러스 발생국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www.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신 중에 지카 바이러스 발생 국가에 다녀온 경우 여행에 돌아와서 2주 이내 발열, 발진, 관절염, 눈 충혈 등 지카 바이러스 의심 증상이 있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진료를 받을 때는 여행을 다녀왔다는 것을 의료진에게 꼭 알려야 한다. 태아에게 영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아야 한다.

*확산
2015년 이전에는 아프리카, 동남아, 태평양 섬지역에서 발생된 사례가 있다. 2015년 이후 5월 브라질에서 첫 보고된 이후 점차 유행지역이 확산되고 있다. 2016년 4월26일현재 최근 2개월간 중남미 33개국, 오세아니아 8개국 아시아2개국 아프리카 각 1개국 등 총 44개국에서 지카바이러스 감염환자가 발생했다.

한국에서는 2016년 3월22일 첫 확진 환자가 발생했고 4월 27일 두번째 감염자가 발견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집트 숲모기를 매개체로 감염되는 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국제 보건 비상사태(PHEIC)를 선포하기도 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지역(2016년 4월26일기준)

*중남미 (33개국)
-유행국가(26)
가이아나, 과들루프, 과테말라, 니카라과, 네덜란드령 퀴라소, 도미니카공화국, 마르티니크, 멕시코,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바베이도스, 베네수엘라, 볼리비아, 브라질, 수리남, 아이티,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트리니다드 토바고, 파나마, 푸에르토리코, 프랑스령 기아나, 프랑스령 생마르탱, 네덜란드령 아루바
-산발적 발생(7)
네덜란드령 신트마르텐, 도미니카, 자메이카, 쿠바, 세인트루시아, 벨리즈, 네덜란드령 보네르
*오세아니아 (8)
-유행국가
마셜제도, 미국령 사모아, 사모아, 통가, 피지
-산발적발생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 코스라이제도, 파푸아뉴기니

*아시아 (2)
-유행국가(1)
베트남
-산발적발생(1)
필리핀

*아프리카 (1)
-유행국가(1)
카보베르데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하이퍼루프

Hyperloop

미국 전기차 회사 테슬라모터스와 스페이스X 창업자인 엘론 머스크가 2013년 제안한 캡슐형 초고속 열차시스템.

머스크가 2015년 1월 블로그를 통해 공개한 설계안에 따르면 하이퍼루프 열차는 28인승으로 지름 3.5m 긴 원통의 통로를 최고 시속 1200㎞ 속도로 날아간다. 로스앤젤레스에서 약 560㎞ 떨어진 샌프란시스코까지 35분 만에 주파할 수 있다.
여객기의시속 900km, 고속철은 300km, 승용차는 100km 정도로 운행하는 것을 감안할 때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운행하는 것이다.

이처럼 빠른 속도를 내는 원리는 열차가 진공 튜브 속을 운행해 공기 저항과 마찰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자기부상열차처럼 바닥에서 살짝 떠서 운행하는 것도 마찰을 줄이는 방법이다. 열차 운행에 필요한 전력은 진공 튜브 위에 설치한 태양전지판에서 공급받는다. 열차가 지나가는 지상 튜브는 30m 간격으로 내진 설계한 기둥으로 받친다.

2017년 5월에 `하이퍼루프원'이 미국 네바다주 사막에서 96m구간을 최고 속도 111km로 달리며 첫 시험 주행에 성공했고 2019년 현재는 536m 길이에서 최고시속 386km까지 끌어올렸다.


또다른 하이퍼루프 전문기업인 '하이퍼루프 트랜스포테이션(HTT)'는 2018년 20월 세계 최초로 실제 크기의 하이퍼루프 열차 시제품인 `킨테로원(Quintero One)'을 공개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캡슐 열차와 하이퍼루프가 인구 300만명 이상 도시의 1000㎞ 이내 인접한 환경에서 적합하다고 보고 있다. 하이퍼루프를 도입할 만한 조건의 도시가 세계적으로 300개가량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개성공단

Gaesong Industrial Complex

경기도 개성시 봉돌리 일대 9만3000㎡ 면적에 조성된 공업단지.
2000년 6·15공동선언 이후 추진된 남북경제협력사업의 하나로 2000년 8월 22일 남쪽의 현대아산(주)과
북쪽의 조선민족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와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가 체결한 ‘개성공업지구건설운영에 관한 합의서’가 공단 조성의 단초가 되었다.

2003년 6월30일 착공해 2004년 6월 9만3000㎡ 면적의 시범단지조성이 완료됐다. 2004년 12월 시범단지 분양기업에서 생산한 제품이 처음으로 반출되었으며 2007년에 1단계 분양 및 1단계 1차 기반시설이 준공되어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다.

개성공단은 남북협력과 남북경협의 대표적인 사례로 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부침을 겪기도 했다.
개성공단은 2004년 12월 본격 가동된 뒤 북한의 근로자 철수 조치로 2013년 4월8일부터 9월15일까지 가동이 중단된 바 있다.
2016년 2월 10일 정부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북 압박움직임의 일환으로 개성공단 폐쇄를 선언했다. 이로써 남북 경제교류 협력을 목적으로 설립된 개성공단은 2003년 12월15일 첫 제품을 생산한지 11년2개월여 만에 다시 문을 닫게 된 것이다.

폐쇄결정당시 개성공단에는 124개 기업이 입주 가동 중 이었다.
개성공단 조성부터 가동중지를 결정할 때 까지 대한민국에서 개성공단을 통해 북한에 유입된 현금은 총 6천160억원이었으며 정부와 민간에서 투자한 총액은 1조190억원(공공투자 4577억원, 민간투자 5613억원)이었다.
개성공단의 연간 생산액은 2014년 4억7000만달러, 2015년 1~11월 5억1500만달러다.

개성공단 관련 일지.


▲2003년 6월 = 개성공단 1단계 건설 착공식
▲2004년 12월 = 본격 가동
▲2008년 3월 = 북한, 통일부 장관 “북핵 진전 없으면 공단 확대 어렵다”는 말에 남측 당국자 철수 조치
▲2008년 12월 = 북한, 공단 상주 인원 880명으로 제한
▲2009년 3월 = 북한, 한·미연합군사훈련 기간 중 세 차례 통행 제한
▲2009년 5월 = 정부, 북한 제2차 핵실험으로 ‘필요 최소 인원’만 출입 허용
▲2010년 11월 = 정부, 북한 연평도 포격 도발로 ‘필요 최소 인원’만 출입 허용
▲2013년 4월 = 북한, 한·미연합 군사훈련 이유로 공단 내 근로자 철수
▲2013년 9월 = 가동 중단 166일 만에 재가동
▲2014년 11월 = 북한, 공단 노동규정 일방 개정으로 임금 인상 갈등 촉발
▲2015년 8월 = 남북, 공단 최저 임금 5% 인상에 합의
▲2016년1월6일 = 북한 4차 핵실험
▲2016년1월7일 = 정부, 북한 4차 핵실험으로 ‘생산관련 인원’만 출입 허용
▲2016년1월12일= 정부, ‘필요 최소 인원’만 출입 허용
▲2016년 2월7일=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2016년 2월8일= 정부, 개성공단 출입인원 500명으로 제한
▲2016년 2월10일=정부, 개성공단 전면 중단 조치 발표
▲2018년 3차 남북정상회담+9월평양공동선언에서 조건이 가능한때떼 개성공단의 재개하자는 내용이 명시
▲2019년 5월17일= 통일부, 3념난에 개성공단 기업인의 방북 승인
▲2020년 6월16일=북한, 개성공단 내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2020년 6월17일=북한,금강산 관광지구와 개성공단에 군배치 선언했으나 일주일 후인 24일 계획을 보류키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