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 earth orbit satellite communications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구로부터 약 200~2,000km 상공을 도는 저궤도위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기술이다.
짧은 거리 덕분에 신호 왕복 시간이 짧아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통신이 가능하며, 지구 전역을 대상으로 인터넷, 음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 통신은 주로 정지궤도 위성에 의존했다. 지구로부터 3만6,000km 떨어진 고도에 위치한 정지궤도 위성은 항상 같은 지역을 비추는 장점이 있지만, 신호를 주고받는 데 500밀리초(ms) 이상 걸려 통신 지연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실시간 화상회의나 클라우드 게임, 자율주행차 통신처럼 빠른 응답이 필요한 서비스에는 큰 제약이 따랐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이 한계를 뛰어넘는다. 지구와 훨씬 가까운 거리에서 신호를 주고받아 왕복 지연이 20~40ms에 불과하다. 이는 지상 광케이블 수준에 버금가는 속도다. "위성이 골목 어귀에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는 비유가 나올 정도로 반응 속도가 빠르다.
덕분에 저궤도 위성통신은 기존 통신망이 닿지 않는 사막, 오지, 해양, 극지방에서도 안정적인 인터넷을 제공할 수 있다. 선박과 항공기의 통신망 구축, 재난 상황에서의 긴급 통신, 군사용 안전 통신망 확보에도 적합하다. 나아가 글로벌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와 자율주행차 네트워크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가 저궤도 통신망 구축을 주도하고 있다. 스타링크는 이미 수천 기의 위성을 띄웠고, 북미와 유럽을 넘어 아시아 지역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 중이다. 아마존의 '쿠이퍼', 영국 '원웹', 중국의 '궈왕' 프로젝트 등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도 가세했다. 한화시스템이 발사한 '세이프넷-1'은 군사 통신 및 해양 정보 수집을 목표로 한다. 향후 민간 분야에서도 KT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등이 중심이 돼 저궤도 위성통신 생태계를 키워갈 계획이다.
다만 과제도 있다. 수만 기 위성이 우주를 뒤덮으면서 충돌 위험이 커지고 있고, 주파수 간섭 문제와 고비용 구조도 풀어야 할 숙제다. 국제 규범 마련과 지속가능한 궤도 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우주 데이터 패권" 을 둘러싼 경쟁으로 번지고 있다. 빠르고 끊김 없는 하늘의 통신망을 누가 먼저 선점하느냐에 따라 미래 글로벌 통신 질서가 재편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