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보편관세와 트럼프 보편관세

universal baseline tariff

보편관세란 특정 국가나 상품을 지정하지 않고 모든 수입품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관세를 부과하는 체계를 말한다.

이는 국가 간 차별 없이 일률적인 세율로 무역을 규제하는 방식으로, 단순하고 공정한 구조를 지향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국제 무역 규범에서는 주로 품목별 차등관세와 국가 간 자유무역협정이 일반적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2024년 대선 기간 당시 이 보편 관세를 정책공약으로 내세우면서 “앞으로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수입품에 10~20%의 일괄적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일괄적인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기존의 복잡한 관세체계를 단순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그는 2025년 4월 2일을 ‘해방의 날(Liberation Day)’로 선언하고,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 정책을 공식 발표했다.



해당 조치는 2025년 4월 5일 오전 12시 1분(동부 표준시)을 기해 발효될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미국과의 무역에서 상당한 흑자를 기록하거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가졌다고 판단하는 약 90개국에 대해서는 ‘상호주의 관세(Reciprocal tariffs)’라는 이름으로 더 높은 관세가 2025년 4월 9일부터 적용된다. 국가별로는 중국 34%, 유럽연합 20%, 일본 24%, 한국 25%, 베트남 46%, 인도 26% 수준으로 책정됐다.



이 정책의 목적은 미국 제조업을 보호하고 무역적자를 줄이며, ‘미국 우선주의’를 강화하는 데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로 인해 소비자 물가 상승과 인플레이션, 세계무역기구(WTO) 규범 위반 가능성을 우려한다. 또, 무역 상대국의 보복 관세와 글로벌 공급망 혼란도 불러올 수 있다. 보편관세는 정치적 지지를 얻기 위한 강력한 보호무역 전략이지만, 세계 경제에는 중대한 파장을 미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