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국방연구원의 북한 탄도미사일 소요 경비 추산을 근거로 70발의 미사일 발사비용을 추계했을 때 최소 약 10억810만 달러(약 1조3,200억원)의 발사비용을 추정해 볼 수 있음
- 미사일 발사비용 약 10억 달러를 미 농무부 추산 2022년 북한 식량 부족분을 구매하는데 사용 했다면 최소 2년치를 마련할 수 있었던 금액
읽는시간 4분
2022년 북한은 미사일 도발로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 사이버 공격 통한 가상자산 탈취가 대북제재 상황에도 미사일 도발을 할 수 있었던 ‘재원(財源)’ 으로 주목받고 있음
○ 한국국방연구원의 북한 탄도미사일 소요 경비 추산을 근거로 70발의 미사일 발사비용을 추계했을 때 최소 약 10억810만 달러(약 1조3,200억원)의 발사비용을 추정해 볼 수 있음
북한의 2022년 탄도미사일 발사비용 추계 (2023.1월 현재)
자료 : 한국국방연구원 바탕으로 연구자 추계
2022년 북한 식량 부족분과 가상자산 탈취, 북한 對중국 수출액과의 비교
자료 : 美 농무부, 재무부, Chainaysis, 중국해관통계
블록체인 분석기관인 미국의 Chainaysis는 2022년 북한의 가상자산¹ 탈취금액을 약 16억 5050만 달러로 추정²
○ 2022년 북한의 대중국 수출액은 약 1억3천만 달러로, 코로나19 국경봉쇄를 감안하더라도 가상 자산으로 벌어들이는 수익의 약 1/16 수준이라고 본다면, 북한당국이 외화벌이를 위해 ‘무역’보 다 ‘가상자산 탈취’를 더 선호할 가능성이 있음
¹ 가상자산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암호화 기술(cryptography)을 사용하여 만든 디지털 화폐나 자산으로 정의되며, 암호화폐라는 명칭도 사용되나 국내에서는 「특정금융정보법」을 근거하여 ‘가상자산’이라는 용어로 통칭
² Chainalysis, 「2023 Crypto Crime Report」, p.60
KB경영연구소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