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G2 합의 급물살, 원화에는 굿 뉴스

2025.5.12 달러/원 환율 1,390~1,400원 전망
2025.05.12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미중 합의 기대 등 위험선호 및 위안화 강세 동조에 하방
    • 글로벌 동향, 미중 무역협상에서 우호적 분위기에 위험선호 심리 확산
    • 마켓 이슈, 미국의 무역협상은 선진국 통화에 악재, 신흥국 통화에는 호재

달러/원 환율, 미중 합의 기대 등 위험선호 및 위안화 강세 동조에 하방

전일 달러/원 환율은 글로벌 무역 긴장 완화에 따른 달러 반등에 상승 출발. 장중 달러 강세와 중국의 위안화 절하 고시에 추가 상승. 이후 대만 달러의 강세에 원화도 동조, 수출 네고 물량 출회 등에 하락 전환, 상승 분을 대거 반납하며 전일 종가 대비 3.4원 상승한 1,400.0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 장에서는 주말에 있을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를 반영해 하락하며 1,398.0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전일 종가 대비 4.35원 하락한 1,392.9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주말간 미중 무역협상 결과를 소화하며 하락 개장 예상. 지난 이틀 간 진행된 미중 협상의 분위기가 우호적인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로 인해 시장 내 위험선호 심리가 자극될 전망

또한 현재 역외 시장에서 중국 위안화가 강세, 이에 원화도 동조하며 달러 대비 강세가 예상. 금일 환율은 미중 합의 기대에 하락 개장한 뒤 위험선호 및 아시아 통화 강세 동조에 1,390원대 초반까지 추가 하락 가능할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미중 무역협상에서 우호적 분위기에 위험선호 심리 확산

전일 미 달러화는 미중 무역협상을 대기하며 약세 전환.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21% 하락한 100.43pt 기록. 10~11일 스위스에서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회담이 시작. 미국에서는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가 참석, 중국에서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가 참석

회담 시작 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중국 관세율을 80%로 낮추는 것이 적절해 보이며, 이는 스콧 베센트 장관에게 달렸다"라고 언급. 10일 미중 양국은 첫 날부터 약 10시간의 회의를 진행. 회의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좋은 만남을 가졌고, 많은 합의가 이루어졌다"라고 언급

중국 허리펑 부총리는 "양국이 협의 메커니즘을 구축할 것이며, 12일에는 공동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발언. 현재 역외 위안화 (CNH)는 미중 합의 기대를 반영하며 달러당 7.2위안에서 등락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미국의 무역협상은 선진국 통화에 악재, 신흥국 통화에는 호재

미국의 각국과의 무역협상이 본격화되면서 유로, 파운드, 엔 등 선진국 통화는 미 달러 대비 약세. 이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흔들렸던 달러 자산에 대한 글로벌 신뢰가 관세 완화 기대와 함께 회복되고 있음을 시사

반면, 무역협상 진전에 따른 관세 완화 기대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 대만, 한국 등 신흥국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이들 통화는 오히려 강세 흐름. 이는 관세 완화 기대가 신흥국의 수출 회복 기대를 자극하며, 통화가치 절상으로 연결되는 전형적인 메커니즘. 요컨대, 미국 무역협상이 진전될수록 선진국 통화로 구성된 미 달러화 지수는 상승할 수 있으나, 신흥국 통화의 대미 환율은 하락 (절상)할 여지가 존재

한편 지난 주말에 미국과 중국 간 무역협상이 시작, 금주 15~16일에는 APEC 통상장관 회의에서 한미 협의 예정. 협상 분위기가 우호적으로 전개될 경우, 원화를 포함한 일부 신흥국 통화가 절상 압력을 받을 가능성

미 달러 대비 선진국 및 신흥국 통화 가치의 괴리

25년 1월 부터 25년 5월 까지 '미 달러화 지수'를 7개 선진국과 19개 신흥국으로 구분지은 추이 내용을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