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빅 컷은 없었지만 불확실성은 컷

2025.9.18 달러/원 환율 1,374~1,382원 전망
25.09.18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불확실성 해소 및 위험선호심리에 1,370원대 하락 예상
  • [글로벌 동향] 9월 FOMC에서 25bp 인하, 미 국채금리 및 달러는 반등
  • [마켓 이슈] FOMC 리뷰 - 다소 완화적 기조, 26년 2회 이상 인하도 가능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불확실성 해소 및 위험선호심리에 1,370원대 하락 예상

전일 달러/원 환율은 FOMC 앞둔 달러 약세 영향에 1,378원으로 하락 개장한 이후 저가 매수 유입에 상승 전환. 장중 1,382원 고점 이후 달러 약세 압력에 추가 상승은 제한되며 1,380원 부근에서 혼조세. 이후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도에 영향 받으며 전일 종가 대비 1.2원 상승한 1,380.1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연준의 25bp 금리인하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에 하락하며 1,376.3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0.60원 상승한 1,378.5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강세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380원 부근 보합 개장 예상. 연준 인하 재개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 연내 추가 인하 기대에 달러 약세 전환 가능. 더불어 금리인하로 인한 유동성 증가 기대가 주식 등 위험자산 지지

이에 따라 달러/원도 하락 방향이 우세하다는 판단. 하지만 지속되는 역내 달러 수요가 하단을 지지할 것으로 예상. 금일 환율은 달러 약세 전환 추종, 수급 요인에 제한적 하락 예상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9월 FOMC에서 25bp 인하, 미 국채금리 및 달러는 반등

전일 미 달러화는 연준 인하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과도했던 인하 기대가 되돌려지며 강세.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39% 상승한 97.03pt 기록. 9월 FOMC에서 연준은 예상대로 금리를 25bp 인하. 경제전망 (SEP)에서 올해 및 내년 성장률은 소폭 상향 조정.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올해 유지, 내년 상향 조정

연말 금리 예상치는 올해 기존 3.9%에서 3.6%로 하향 조정. 이는 9월 인하 이후 연내 2회 추가 인하를 시사. 하지만 내년 말 예상치는 3.4%로 당초 시장이 기대했던 3회 인하보다 높은 수준. 이에 미 국채금리는 연준 인하 기대가 다소 되돌려지며 장단기물 모두 상승

기자회견에서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고 고용 하방 리스크가 크다고 언급. 즉 이번 인하는 고용 대응을 위한 위험 관리성 인하 (Risk Management Cut) 라고 덧붙임. 50bp 인하에 대해서는 위원들의 광범위한 지지가 없었다고 밝힘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FOMC 리뷰 - 다소 완화적 기조, 26년 2회 이상 인하도 가능

18일 새벽 연준은 FOMC 회의에서 예상대로 25bp 금리인하 발표. 연준 금리인하는 9개월 만에 재개된 것으로, 그 배경은 물가보다는 고용. 연준의 경제전망 (SEP)과 점 도표 (Dot Plot)를 감안하면 이번 FOMC는 다소 완화적. 연준 위원들이 예상하는 경제성장 경로는 양호하지만, 인플레이션은 높지 않을 것이란 인식

올해 연말까지 추가 2회 이상 인하를 예상하는 위원 수는 10명. 그 중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연말 금리를 2.75~3.00%로 예상 (추정). 마이런은 이번 9월 FOMC에서 유일하게 50bp 빅 컷 주장. 26년 말 점 도표는 더욱 넓게 분포되어 있어 금리경로 불확실성은 다소 확대

중간값 상으로는 3.4%로 연내 1회 인하지만, 2회 이상의 인하를 예상하는 위원 수는 9명 (연준 위원 총 19명). 향후 금리경로의 관건은 물가보다 고용. 즉 고용 부진 확인 시 2026년 2회 이상의 인하도 여전히 가능하다는 판단

연준의 9월 FOMC 경제전망요약 (SEP)

2025년 부터 2028년 까지 '연준'의 '경제 관련 전망' 내용을 표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Consensus,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전망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