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카드는 본인의 신용을 기준으로 배우자, 부모, 자녀 등 가족구성원이 발급받아 이용하는 카드예요. 쉽게 말해 내가 사용하는 신용카드를 복사해 가족의 이름을 넣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이때, 카드사와 계약을 맺고 결제를 책임지는 사람은 '본인회원', 본인회원의 가족으로 카드를 함께 사용하는 사람은 '가족회원'이라고 불러요.
작게
보통
크게
목차
이런 분들이 읽으면 좋아요
가족카드 개념
가족카드, 어떤 건가요?
가족카드는 본인의 신용을 기준으로 배우자, 부모, 자녀 등 가족구성원이 발급받아 이용하는 카드예요. 쉽게 말해 내가 사용하는 신용카드를 복사해 가족의 이름을 넣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이때, 카드사와 계약을 맺고 결제를 책임지는 사람은 '본인회원', 본인회원의 가족으로 카드를 함께 사용하는 사람은 '가족회원'이라고 불러요.
가족카드 장점
가족카드 사용하면 이런 점이 좋아요
가족카드는 한 사람의 카드 실적을 가족과 함께 채우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전월실적 50만원인 카드라면 부부가 함께 사용해 50만원을 채우면 됩니다. 혼자 카드 쓰는 것보다 훨씬 수월하게 실적을 맞출 수 있어요. 실적 기준이 높을수록 혜택이 커지는 카드라면, 가족카드로 함께 쓰는 게 유리해요.
신용카드를 여러 장 쓰면 그만큼 연회비도 늘어나기 마련인데요. 가족카드는 보통 본인회원만 연회비를 내고, 가족회원은 면제되는 경우가 많아요. 덕분에 연회비는 줄이고, 카드 혜택은 그대로 누릴 수 있죠.
아래의 경우에는 추가 연회비가 발생할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해 보세요.
신용카드는 '후불 결제'라서, 소득이 없으면 발급이 어렵죠. 그런데 가족카드는 소득이 없는 주부나 자녀도 이용할 수 있어요. 본인회원의 신용을 바탕으로 가족이 카드를 함께 쓰는 구조이기 때문이에요. 자녀 용돈 카드나 부모님 생활비 카드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
가족카드는 결제 대금이 한 계좌로 모여 청구돼요. 누가 얼마 썼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지출 관리가 편해요. 생활비, 자녀 용돈, 부모님 카드 등 용도별로 나눠 쓰면 가족 전체의 지출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요.
자녀 카드라면 용돈만큼만 쓸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답니다.
가족카드 신청 방법
KB국민카드, 가족카드 발급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
KB국민카드 가족카드 발급 신청은 KB Pay 앱, 카드사 홈페이지(www.kbcard.com), 고객센터(1588-1688), KB국민카드/은행 영업점을 통해 할 수 있어요.
가족카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가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가족관계증명서나 주민등록등본 등의 서류가 필요해요.
[My KB > 정보관리 > 소유카드관리 > 카드 선택 > 재발급신청 > 본인확인 > 약관동의 > 신청유형]에서 가족카드 신청
가족카드는 직계혈족(만18세 이상), 형제자매(만19세 이상), 배우자, 배우자의 부모·조부모·형제자매, 자녀와 손자의 배우자까지 발급할 수 있어요.
가족카드 추천
할인형 vs. 적립형, 가족카드 선택 방법은?
가족카드로 어떤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요? 주로 소비하는 분야에서 혜택을 제공하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좋지만, 그중에서도 마일리지나 포인트 적립형 신용카드 혹은 프리미엄 카드를 추천해요.
“월 할인 한도 제한이 높거나 없어요”
가족카드를 사용하면 혼자 사용했을 때보다 월 카드 사용 금액이 훨씬 높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 금액에 따라 혜택도 함께 늘어나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해요. 특히 마일리지 적립 또는 포인트 적립형 카드는 할인형 신용카드에 비해 혜택 한도가 높거나 제한이 없는 편이라서 가족카드로 추천해요.
“연간 이용 금액 조건을 맞추기 수월해요”
프리미엄 카드 혜택을 받기 위해선 보통 연간 이용 금액 조건이 있는데요. 조건이 있더라도 있더라도 가족카드로 같이 사용한다면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어서 추천해요. 프리미엄 카드는 연회비가 높고 연간 이용 금액 조건이 있는 대신, 할인/적립 한도가 일반 신용카드에 비해 높거나 제한 없이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요.
가족카드 연말정산
가족카드 소득공제 대상자와 연말정산 팁
가족카드의 카드 사용 금액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은 카드 명의자(가족회원)가 받아요. 예를 들어, 남편의 가족회원으로 부인이 가족카드를 발급받았다면, 카드 대금 결제는 남편이 하지만 가족카드 명의는 부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카드 명의자인 부인이 소득공제 혜택을 받는 거죠.
가족카드를 사용 중인 맞벌이 부부라면 ‘소득이 낮은 쪽’에 몰아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총급여액의 25%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 공제되는데 소득이 적으면 공제를 받기 위한 조건 금액도 낮아지기 때문이죠.
💛💛💛
혜택은 나누고, 지출은 한눈에. 생활 속 카드 활용을 더 똑똑하게 하고 싶다면, 가족카드를 활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KB국민카드 가족카드
💬 자주 묻는 질문
🙅🏻 아니요. 가족카드 신규 발급은 본인회원만 신청할 수 있어요.
🙆🏻 네. KB Pay 앱이나 홈페이지, 고객센터 및 영업점에서 가족회원 이용한도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어요. 별도 설정이 없는 가족카드는 본인회원의 신용카드 총한도 내에서 운영돼요.
💁🏻 전부 본인회원 앞으로 적립돼요. 가족회원이 사용한 금액도 포인트리는 본인회원 앞으로 쌓여요,
🙆🏻 네. 카드사용알림서비스를 신청하면 문자로 받을 수 있어요. ▲ 본인과 가족이 사용한 내역을 본인 핸드폰으로 전부 받거나, ▲ 본인과 가족이 사용한 것을 각각 받거나(개별전송), ▲가족이 사용한 내역을 본인과 가족 모두 받거나 할 수 있어요.
AI가 만든 3줄 요약
이 콘텐츠는 Content Creation House 고릴라디스트릭트와 함께 만들었습니다.
이 콘텐츠는 2025년 8월 12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발행일 이후 변경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오직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개인적인 자문 또는 홍보 목적의 콘텐츠가 아닙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이 입은 손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