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2.0은 기존에 비해 가입 및 동의 절차가 간소화되고, 자산 연결 절차도 더 간단해졌어요.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작게
보통
크게
목차
마이데이터 2.0
어떤 점이 달라졌나요?
마이데이터 2.0은 기존에 비해 가입 및 동의 절차가 간소화되고, 자산 연결 절차도 더 간단해졌어요.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자세히 살펴볼게요.
기존에는 한 번에 최대 50개의 기관을 연결할 수 있었지만, 마이데이터 2.0에서는 401개까지 한 번에 연결이 가능해요. 또한 이제 개별 금융회사를 선택하지 않아도 은행, 보험, 증권 등 업권만 선택하면 내가 가진 보유자산을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어요.
기존에는 가입 유효기간이 1년으로 제한되어 마이데이터를 계속 이용하려면 매년 연장이 필요했어요. 하지만 이제 최대 5년까지 가입 유효기간을 선택할 수 있어 동의 절차를 반복할 필요 없이 마이데이터 이용이 가능해요.
잊고 있던 휴면예금이나 휴면보험금도 이제 마이데이터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잔액이 100만원 이하이고, 최종 입출금일로부터 1년 이상 경과한 계좌를 볼 수 있어요.
KB Pay 마이데이터
이렇게 활용해 보세요
마이데이터 2.0은 [KB Pay 앱> 자산 탭]에서 만나볼 수 있어요. 특히 계좌, 투자, 페이/포인트, 연금, 대출, 보험 등 각 분야별로 내 금융 상품을 모아보는 것이 가능해졌는데요. 이중 원하는 분야를 골라 자산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해요. 새로워진 마이데이터에서 만나볼 수 있는 기능을 소개할게요.
총자산 그래프로 월별 총자산과 자산구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나에게 더 필요한 상품은 무엇인지 확인하고, 필요한 상품이 있다면 가입 페이지로 바로 이동해 가입하는 것도 가능해요. 또한 내 나이 또래 다른 사람들은 자산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 그와 비교해 내 자산현황은 어떤지 확인할 수 있어요. 전체 금융자산, 투자자산, 대출 잔액별로 각각 확인이 가능해 내 자산관리에 도움이 될 거예요.
내 자산과 소비 현황을 분석해 카드 대금 결제일, 보험료 납입일, 상품 만기일 등 중요한 금융 일정을 알려줘요. 금융 일정이 아니더라도 꼭 챙겨야 하는 일정은 직접 등록하는 것도 가능해요. 금융 캘린더로 중요한 날을 놓치지 말고 준비해 보세요.
KB Pay 마이데이터 2.0에서는 내 자산현황, 금융일정, 소비내역 등을 카드뉴스로 한눈에 살펴볼 수 있어요. 지난 소비 내역을 돌아보며 추억할 수 있는 소비네컷(출근네컷, 점심네컷 등)과 같은 흥미로운 콘텐츠는 물론,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게임형 서비스인 큽(KB)어라운드도 준비되어 있고요. 나에게 맞는 맞춤형 정보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자산관리가 더 쉽고 재미있게 느껴질 거예요.
KB Pay 마이데이터 FAQ
이런 점이 궁금해요!
💁🏻 마이데이터 2.0에서는 업권별 자산 통합조회, 가입기간 갱신주기 연장 등이 가능해졌어요. 즉, 마이데이터와 마이데이터 2.0의 차이는 데이터 활용성이 높아지고, 이용자 편의성이 개선된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자산을 연결할 때 정기 전송 여부/주기에서 1주~4주 단위로 주기를 설정하면 해당 주기에 맞춰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돼요. [KB Pay 앱> 자산 탭]을 방문하면 자동으로 새로고침되어 업데이트됩니다.
💁🏻 일반 상품들은 상세화면에서 해당 계좌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휴면예금과 휴면보험금은 아직 마이데이터에서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해당 금융기관 고객센터로 문의해야 해요.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