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산보증금이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적용 대상을 정하는 기준으로, 보증금에 월세 환산액(월세×100)을 더한 금액을 뜻해요.
읽는시간 4분
이런 분들이 읽으면 좋아요 👍🏻
상가 임대료 인상을 결정하는
환산보증금이란?
환산보증금이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적용 대상을 정하는 기준으로, 보증금에 월세 환산액(월세×100)을 더한 금액을 뜻해요.
보증금 1억원, 월세 100만원 상가인 경우,
1억원 + (100만원 × 100) = 2억원
환산보증금이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에서 정한 기준을 넘으면, 임대인은 자유롭게 임대료를 5% 이상 올릴 수 있어요. 하지만 기준보다 낮다면 임대인은 임대료를 5%를 초과해 올릴 수 없어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9억원이 넘는 상가 계약을 했다면 법적으로 임대료 인상을 막을 수 없는 거죠.
이는 보증금과 월세가 높은 상가를 계약할 수 있는 임차인(상가를 빌린 사람)들은 보통 재정이 안정적이고, 좋은 위치에 가게를 운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이런 임차인들에게는 임대료 인상 제한을 조금 덜 엄격하게 적용한 거예요. 그래서 상가 계약 시에는 환산보증금을 확인하고, 임대료 인상 조건을 계약서에 명확히 정해두는 게 중요해요.
💡 Tip. 부당한 임대료 인상, 이렇게 대응하세요
환산보증금이 기준 이하인 상가는 5%를 초과하여 임대료를 인상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임대인이 이 규정을 무시하고 임대료를 크게 올리라고 요구하면서, 이를 따르지 않으면 가게를 비워달라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때 중요한 것이 '갱신요구권'입니다.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0조에 따르면, 임차인은 최대 10년까지 계약 갱신을 요구할 수 있어요. 임대인이 갱신을 거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더라도, 임차인이 갱신요구권을 행사하면 계약은 기존 조건대로 갱신됩니다. 부당한 임대료 인상 요구에서 임차인을 보호하는 제도가 바로 갱신요구권이에요.
상가 임대료 인상을 예방하는 사전 협상 전략
임대차 계약서 작성 시 과도한 임대료 인상을 예방하는 몇 가지 전략을 알려드릴게요.
상가 임대차 계약을 할 때는 계약 기간을 길게 잡는 게 좋아요. 2년 계약에 월세가 2,000만원인 상가라면, 계약 기간을 늘리고 임대료를 낮출 수 있어요. 길게 계약이 가능한 상황이라면 이런 방법으로 계약 기간 동안 월세 인상 걱정을 덜 수 있답니다.
주변 상가의 임대료가 어떻게 변하는지 미리 조사해 보는 것도 중요해요. 시세가 오를 가능성이 높은 신도시에 가게를 연다면 계약서에 “주변 시세를 넘지 않도록 인상하며, 3년마다 10% 이내로 인상한다”는 조항을 추가하는 게 좋겠죠. 급격한 임대로 인상을 방지할 수 있어요.
임대료 인상 비율을 미리 합의해 계약서에 적어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3년마다 임대료를 최대 10% 이내로만 올리기로 미리 협의해두면, 갑작스러운 인상 부담 없이 예측 가능한 수준에서 매장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제소 전 화해조서란, 계약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에 대비해 임대인과 임차인이 서로 미리 합의한 내용을 법원에 제출해 놓는 절차예요.
제소 전 화해조서를 준비해두면, 나중에 임대료 인상이나 계약 조건 문제로 다툼이 생길 때 법원의 결정이 법적 효력을 가지게 되어 안전하게 해결할 수 있어요. 큰 계약일 수록 미리 작성해두면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상가 계약 유지를 위한 체크 포인트
상가 임대차 계약을 갱신할 때, 상가 임대료 인상 외에도 여러 분쟁이 발생할 수 있어요. 이러한 상황을 미리 파악하고 준비하면 더 안전하게 계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분쟁 유형과 예방법을 소개해 드릴게요.
"제때 월세를 내지 않거나 무단으로 임대하면 계약 해지가 가능해요"
임대인은 매달 정해진 날짜에 월세를 받을 권리가 있어요. 이를 '차임 청구권'이라고 하는데요. 만약 임차인이 정해진 날에 월세를 내지 않으면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됩니다. 또한, 임대인의 동의 없이 임차인이 상가를 제3자에게 다시 임대(전대차)하는 경우에도 계약 해지 사유가 될 수 있어요.
"법적으로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계약 갱신이 거부될 수 있어요"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제10조에 따르면, 임차인은 계약 기간이 끝나도 최대 10년까지 계약 갱신을 요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다만, 법적으로 정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임대인이 이러한 갱신 요구를 거부할 수 있는데요. 임차인이 상가의 일부를 임대인 동의 없이 무단으로 증축 혹은 개조하거나, 상가를 본래 계약 용도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등 8가지 사유*에 의해 계약 갱신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계약 갱신 사유
・ 임차인이 임대료를 3기 이상 연체한 경우
・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 없이 최초 약정한 목적 외의 용도로 시설을 임의로 변경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임대한 경우
・ 임차인이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거나 등록된 사업과 다른 사업을 할 경우
・ 임차인이 계약의 목적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경우
・ 임차인이 임대차계약의 의무를 위반한 경우
・ 임대인이 상가를 직접 사용하거나, 가족이 사용하려는 경우
・ 건물의 철거, 재건축, 또는 대수선을 임대인이 진행할 경우
・ 기타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
계약 시 법적 문제가 될 수 있는 사항을 계약서에 명확히 기록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정당한 해지 사유*라도 계약서에 미리 기록해두는 것이 좋아요.
특히 재건축이나 재개발의 경우 미리 공고가 나는 경우가 많은데요. 계약 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증빙 자료를 요구하여 분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상가 임대료 인상과 계약 갱신에 대비해 법적 권리와 의무를 미리 알아두면, 예기치 못한 분쟁을 막을 수 있을 거예요. 알려드린 내용을 활용해 상가 임대료 인상에 현명하게 대비하세요. 매장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거예요.
이 콘텐츠는 공인중개사 이승주님의 도움을 받아 한국능률협회미디어와 함께 만들었습니다.
해당 콘텐츠는 2024년 11월 28일에 발행되었습니다. 발행일 이후 변경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오직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개인적인 자문 또는 홍보 목적의 콘텐츠가 아닙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이 입은 손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