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태그플레이션 뜻과 원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경기 침체에도 물가가 올라요
2025.04.03

읽는시간 4

0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미국에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어요.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발생하는 경제 현상을 뜻해요. 

 

미국 중앙은행(Fed)은 3월 2025년 미국의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1.7%로 하향 조정했고, 인플레이션 전망은 2.5%에서 2.7%로 높였어요. 스태그플레이션 뜻과 원인, 그리고 경제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볼게요.

스태그플레이션 뜻과 원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이라는 제목이 있으며, 상승하는 빨간색 그래프 옆에는 우유, 사과, 생수, 빵이 있습니다. 하락하는 파란색 그래프 옆에는 동전들이 있어요.

스태그플레이션 뜻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예요. 즉, 경기 침체에도 물가가 오르는 특이한 현상이에요. 일반적으로 경기가 나빠지면 물가가 내려가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반대로 물가가 더 올라요.

🔍 알아두면 유용한 용어 '에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을 유발하는 요인에 따라 다양한 신조어가 생겨나는데요. 최근 미국에서는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으로 계란 가격이 급등하면서 '에그플레이션(Eggflation)'에 관심이 몰리고 있어요. 에그플레이션은 계란 값이 오르면서 먹거리를 비롯한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주도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원인

스태그플레이션은 왜 발생하나요?

스태그플레이션 원인으로는 공급 충격이 꼽혀요. 공급 충격이란 상품이나 서비스의 공급이 갑자기 크게 변하면서 물건 가격에 영향을 주는 걸 의미해요. 공급 충격은 자연재해,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이 원인인데요. 대표적인 스태그플레이션 사례로는 1970년대, 1980년대 발생한 오일쇼크가 꼽혀요.

✅1973년 1차 오일쇼크

1973년 아랍과 이스라엘 간 전쟁으로 생긴 오일쇼크예요.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 국가들은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미국과 서유럽 국가에 원유 수출을 중단했어요. 이 여파로 석유 가격은 배럴당 3달러에서 11.65달러로 4배가량 올랐어요.

 

석유 가격이 오르면서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 나타났어요. 1975년 우리나라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5.3%나 올랐습니다. 같은 해 경제성장률은 7.9%로, 1974년(9.6%)보다 둔화됐어요.

✅1979년 2차 오일쇼크

1979년 발생한 2차 오일쇼크는 같은 해 있었던 이란 혁명이 원인이었어요. 하루 석유 생산량은 580만 배럴에서 44만 5,000배럴로 뚝 떨어졌어요. 이 영향으로 국제유가는 1980년 1월 기준으로 전년 대비 74%나 급등했죠.

 

1980년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무려 30%에 달했어요. 같은 해 경제성장률은 -1.5%로 경기 침체가 동반됐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 영향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물가가 오르면서 가계의 실질 소득*이 감소해요. 뿐만 아니라 실업률도 높아지는데요. 원자재 값이 오르면서 늘어난 생산비용 때문에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기 때문이에요. 기업이 투자와 고용을 줄이면서 실업률이 높아지는 거죠. 

*실질소득: 특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돈(명목소득)에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소득으로, 실제 구매력을 나타냅니다.

오일쇼크가 발생하면서 1973년 4.9%였던 미국 실업률은  1975년 5월 9%로 올랐어요. 1979년 5%였던 실업률은 2차 오일쇼크 이후 1982년 10.8%까지 치솟았습니다. 미국 Fed 의장 폴 볼커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11%였던 기준금리를 1981년 19%까지 끌어올리면서, 기업의 투자와 고용이 크게 위축됐죠.

스태그플레이션 부동산 영향

집값에도 영향을 주나요?

스태그플레이션은 실업률 뿐 아니라 집값에도 영향을 미쳐요. 1970년대 오일쇼크가 발생했을 때, 우리나라의 집값도 영향을 받았어요.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1973~1975년 국내 실질주택가격*은 하락세로 전환했어요. 1980년대 전후 땅값 상승세가 급격히 둔화됐고, 1980년 실질지가지수**는 -13.2%까지 떨어졌습니다.

*실질주택가격: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조정된 주택의 가치

**실질지가지수: 물가 변동에 따른 영향을 제외한 토지 가치의 실제 변동

당시 미국, 일본 등은 실질주택가격이 마이너스를 보일 정도로 주택시장이 급격하게 침체됐어요. 실질주택가격이 마이너스라는 건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주택 가격이 떨어졌다는 의미예요.

이처럼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 실업률 뿐 아니라 부동산에 이르기까지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쳐요. 경기 둔화에도 물가가 계속 오른다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어요. 이에 대비해 불필요한 지출은 줄이고,  경제 상황을 주의깊게 살피는 자세가  필요해요.

이 콘텐츠는 2025년 4월 3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의 국제경제정보(2011.07.06.), Federal Reserve HISTORY(연방준비제도 이사회의 역사), 은행연합회의 은행산업 관련 기본지식(2022.01.),  국토연구원의 국토정책 Brief(2008.08.04.) 등을 참고했습니다.

 

오직 정보 제공 목적의 콘텐츠로 경제와 투자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 및 배포되었습니다. 수록된 내용은 신뢰할 만한 자료 및 정보를 참고한 것이나, KB국민은행은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라도 고객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를 묻는 증빙자료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콘텐츠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어떠한 형태로든 무단 복제, 배포, 전송, 대여가 금지됩니다.

KB Think 오리지널

금융을 쉽게, KB의 생각으로 금융이 가까워집니다.

KB Think 오리지널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