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punitive damages
기업이 불법행위를 통해 영리적 이익을 얻은 경우 이익보다 훨씬 더 큰 금액을 손해배상액이나 과징금으로 부과하는 방식. 끼친 손해에 상응하는 액수만을 보상하게 하는 전보적 손해배상(보상적 손해배상·compensatory damages)만으로는 예방적 효과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고액의 배상을 치르게 함으로써 장래에 유사한 불법행위의 재발을 억제하자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징벌적 손해배상은 1763년 영국의 ‘Huckle v. Money 사건’(불법행위로 얻어지는 이익이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액을 초과한다는 계산 아래 징벌적 배상을 인정한 최초의 사건)에서 처음으로 그 용어가 등장했는데, 이후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주로 영미법계 국가로 파급돼 사용되고 있다.
compensatory damages
손해에 상응하는 액수만을 보상하게 하는 손해배상방식.
geoengineering
인류의 필요에 맞도록 지구의 환경을 대규모로 변화시키는 공학 기술이다. 대기-땅-바다로 이어지는 지구의 온도 순환 시스템에 개입하고 온난화 속도를 늦추는 데 사용된다. 대기 중에 미세 입자를 뿌리고, 지구 궤도에 거대 거울을 설치해 햇빛을 차단하거나,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분리해 심해나 암반에 저장하는 등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ERP는 기업의 모든 자원을 통합해 관리하는 시스템을 뜻하는 용어로 ERP정보관리사는 회계, 인사, 생산, 물류 등의 분야에서 ERP 시스템을 운영하며 불필요한 업무 중복을 없애고 효율적인 경영을 돕는 역할을 한다. 지난 2009년 9월 국가공인자격증으로 인정받게 됐다.
supply curve
공급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려면 그 재화를 시장에 팔아서 얻을 수 있는 수입이 다른 곳에 시간과 돈을 투자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금액보다 최소한 같거나 커야만 한다. 즉, 공급자의 판매수입이 기회비용을 초과할 때 공급할 의사가 발생한다. 이것은 기업의 이윤 극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excess demand
주어진 가격 수준에서 수요량이 공급량을 초과한 경우를 말한다. 이때 가격이 오름에 따라 생산자는 더 많이 생산하고, 소비자는 더 조금 소비하려는 과정에서 균형으로 수렴해 간다.
기존 관광산업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더해 새로운 가치와 시너지를 창출하는 형태. 관광벤처라고도 한다. 농업, 환경, 의료, 정보기술(IT), 교육, 레저, 예술 등 다양한 영역을 관광과 접목해 융·복합 콘텐츠를 만드는 게 관건이다.
debt deflation
물가 하락으로 실질금리(명목금리-물가상승률)가 상승, 채무상환에 부담을 느낀 사람들이 보유자산을 서둘러 매각하면서 자산가치가 하락하고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현상. 미국 경제학자 어빙 피셔가 1930년대 미국 대공황을 설명하면서 만든 개념이다. 과거 일본의 장기불황도 부채디플레이셔에 해당한다.
Jugaad management
주가드 경영는 제한적인 자원으로 열악한 환경에 적응하고 경영상 문제를 즉흥적으로 해결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인도 기업이 값싼 제품을 소비자에게 신속하게 공급하는 경영방식을 말한다. 인도 기업인 타타그룹이 개발한 초저가 자동차 "나노"는 주가드 경영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2009년 출시된 타타 나노는 대당 가격이 10만 루피(약 260만원)에 불과하다. 라탄 타타 타타그룹 회장은 인도 저소득층의 구매력을 감안해 부품을 없애거나 생산 공정을 모듈화해 차량 가격을 10만 루피에 맞췄다. 차를 조립할 때 비싼 용접 대신 저렴한 화학 본드를 사용하는 식이다. "현실성 떨어지는 즉흥 경영"이란 비난도 있었지만 나노는 출시 전부터 100만대가 예약 판매되는 인기를 끌었고, 지난해 미국의 최고 혁신상 "에디슨 어워드" 금상을 수상하는 등 상품성을 인정받았다.
Jugaad
1. 인도에서 주변에 굴러다니는 재료를 끌어모아 만든 엉성한 차를 말한다. 낡은 지프에서 차체를 떼어내 나무판자로 짐칸을 만들고 지붕을 씌우는 식이다.2. "주가드"는 힌두어로 예상치 못한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능력을 뜻한다.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