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잠복기 감염

latent infection

몸 안에 들어온 바이러스가 증식을 거쳐 실제 질병을 일으킬 때까지의 기간을 잠복기라고 한다. 즉 잠복기는 바이러스가 충분히 많아지지 않아 질병이 나타나지 않는 시기인데, 이 시기에 다른 사람에게 질병이 전파 되는 상태를 "잠복기 감염" 또는 "무증상 감염"이라고 한다.
즉, 몸에 질병의 증상은 없지만 남에게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는 상태로 보면 된다.

코로나19의 경우 잠복기는 발표기관에 따라 상이하지만 대략 2일-14일까지로 보고 있다.

이번 신종 코로나19의 경우 여타 코로나바이러스들 처럼 비말전파(침에 의해 전파되는 것)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기에 잠복기 감염의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실제 코로나바이러스 계열로 전세계적으로 유행했던 사스와 메르스의 경우에도 무증상 감염자는 있었으나 이들이 다른 사람을 감염시킨 사례는 없었다.

하지만 2020년 1월 26일 중국의 마샤오웨이(馬曉偉)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위원장이 "사스(SARS)와 달리 이번 코로나19는 잠복기 동안 확산하는 경로를 밟았다." 고 발표함으로써 잠복기 감염의 가능성을 제기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28일 추가 조사가 더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무증상 감염자도 바이러스를 옮길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등 우리 검역당국은 잠복기 감염의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1월 28일 브리핑에서 무증상기나 잠복기에 증상이 발현되기에는 바이러스의 양이 매우 적기때문에 (바이러스의) 전염력이 있다는 건 좀 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팬데믹

pandemic

전염병이 세계적으로 대유행하는 상태. 우리 말로는 '감염병 세계적 유행'이다. `Pandemic'은 그리스어로 '모두'를 뜻하는 `pan'과 '사람'을 뜻하는 'demic'의 합성어로 `감염병이 모두에게 퍼진 상태"를 나타낸다.

제한된 지역에 발생하는 유행병(에피데믹)의 단계를 넘어 두 대륙 이상 확산되는 전염병일 경우 이 용어를 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전염병 경보 6단계 중 최고 위험등급에 해당한다.

2020년 3월 11일 (스위스 현지 시간) WHO는 코로나 19를 팬데믹으로 규정지었다. 이 시점에 전세계적으로 확인된 코로나19 확진자는 100여 개국에서 11만 2천 명을 넘었고 사망자도 4,500명에 근접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팬데믹은 가볍게 쓰는 단어가 아니다"라며 "오용할 경우 비이성적인 공포를 불러일으키거나 싸움이 끝났다고 잘 못 인정함으로써 불필요한 고통과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전 세계 각국 정부들이 WHO의 공격적 예방조치를 취하라는 요구를 무시하고 수수방관적인 태도가 코로나 19의 확산을 부채질했다고 비판하고 "놀라운 수준의 확산과 심각성에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각국 정부가 힘을 합쳐 코로나19의 확산에 공동 대처한다면 통제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이전에 WHO가 규정했던 팬데믹은 2009년 발생했던 신종 인플루엔자이다. WHO는 2009년 4월24일 인플루엔자 A(H1N1)pdm09에 의한 신종인플루엔자 발생을 선언했고 2009년 6월 팬데믹을 선언했다. 이후 2010년 8월 팬데믹 종식이 발표될 때까지 전 세계 214개국에서 확진이 되었고 18,449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한편, WHO가 규정한 전염병 경보 6단계는 다음과 같다.

1단계-동물 사이에 한정된 전염
2단계-동물에서 사람으로 전염되는 단계
3단계-사람 간의 전염이 늘어나는 상태
4단계-사람 간 전염이 급속확산돼 세계적인 유행병이 될 수 있는 초기 상태
5단계-에피데믹(epidemic): 전염병이 2개국에서 유행하는 상태
6단계-팬데믹(감염병 세계적 유행):전염병이 2개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상태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래플

raffle

추첨식 복권을 뜻하는 말로, 적은 수의 상품을 많은 사람이 갖고 싶어할 때 응모를 받아 판매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판매할 제품 수는 적은데 사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으면 보통 선착순으로 판매하곤 했다. 하지만 이 방법이 공정하지 않다는 불만이 나오면서 패션 기업들이 새로운 판매 방식으로 래플을 도입하고 있다.

국내에선 나이키 아디다스 무신사 등이 한정판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쓰고 있다.

래플 방식은 간단하다. 일단 회원 아이디 1개에 1회 응모할 수 있다. 로그인한 뒤 응모 정보를 작성하고 결과를 기다리면 된다. 보통 카카오톡 등을 통해 당첨 여부를 통지해준다. 당첨자는 카카오톡으로 받은 구매 사이트에 접속해 제한된 시간 안에 결제를 완료하면 된다.

래플 방식을 도입한 이유는 복합적이다. 일단 화제를 불러일으켜 많은 사람에게 한정판 제품을 효율적으로 판매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재미를 느껴 무신사에 대한 로열티(충성심)도 커지게 된다.

제품을 짧은 시간에 많이 판매하고 싶어하는 패션 브랜드들을 참여시키는 데도 래플은 효율적이다. 재고 관리가 어렵고 ‘이슈몰이’가 필요한 신생 브랜드, 생산량은 적지만 한정판 제품을 선보이려는 인기 브랜드에 적합한 마케팅 방식으로 꼽힌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재레드 다이아몬드

Jared Mason Diamond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82)는 퓰리처상 수상작 《총, 균, 쇠》로 유명한 세계적 석학이다. 생리학자로 출발해 생물리학, 조류학, 생태학, 지리학, 진화생물학, 인류학까지 다양한 분야를 섭렵하며 세계적 문화인류학자이자 문명연구가라는 명성을 얻었다. 2005년 미국 외교 전문 ‘포린폴리시’와 영국 월간 ‘프로스펙트’가 선정한 ‘세계를 이끄는 대중 지식인’ 중 9위에 올랐다. 《총,균,쇠》 외에 《제3의 침팬지》 《섹스의 진화》 《문명의 붕괴》 《어제까지의 세계》 등 다양한 인문과학서를 펴냈다. 올해 6년 만의 신작 《대변동》에선 국가의 위기로까지 관심 분야를 확장했다.

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 수개국어를 구사하지만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나고, 학습하기 쉬운 문자”라고 평가하는 ‘한글 예찬론자’이기도 하다. 미국 UCLA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강의와 집필, 해외 강연 등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 약력
△1937년 미국 보스턴 출생
△하버드대 역사학과
△케임브리지대 생리학 박사
△《제3의 침팬지》로 1997년 영국 과학출판상, 미국 LA타임스 출판상 수상
△《총, 균, 쇠》로 1998년 퓰리처상, 영국 과학출판상 수상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코로나19 예방법

-KF80 이상 마스크 쓰고…꼼꼼히 손 씻어 '간접 접촉 전파' 막아야

-기침할 때 옷소매로 코·입 가리고
-불필요한 병원 방문 최대한 자제
-감염 의심되면 1339로 신고

국내에서 코로나19의 2차, 3차 감염 환자가 잇따라 나오면서 철저한 감염 예방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등에 떠도는 잘못된 정보는 걸러내고 과학에 근거한 예방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침예절
공공장소에서는 기침예절을 잘 지켜야 한다. 질병관리본부(질본)는 기침할 때 휴지나 손수건보다는 옷소매로 코와 입을 가리는 것을 권고한다. 질본 관계자는 "휴지나 손수건은 잘 쓰지 않으면 침방울이 샐 수 있고 평소 휴대하지 않는 사람도 많다"며 "가장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옷소매로 가리는 것"이라고 했다.

입에서 침방울이 분출되는 것을 막는 게 기침예절의 핵심이다. 기침을 하면 반경 2m까지 작은 침방울이 확산돼 바이러스가 퍼질 수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환자가 재채기를 하면 바이러스가 있는 침방울이 눈, 코, 입, 피부에 묻을 수 있다"며 "바이러스가 눈, 코, 입의 점막에 붙으면 감염이 시작된다"고 했다.

▲30초 이상 손씻기
손씻기는 간접 접촉 전파를 막는 데 필수다. 바이러스가 사람에서 사람으로 바로 옮겨가지 않고 중간에 사물을 거쳐 전파되는 것을 간접 접촉 전파라고 한다. 김 교수는 "손잡이, 의자, 컴퓨터 등 주변 사물에 바이러스로 오염된 침방울이 묻어 있을 수 있다"며 "침방울이 묻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면 감염되는 것"이라고 했다.

흐르는 물에 손을 적시고 비누로 30초 이상 손바닥, 손등, 손톱 밑, 손가락 사이를 비비며 씻어야 한다. 물로 씻기 어려울 때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는 알코올 세정제를 들고 다니며 손을 소독해야 한다. 장갑을 착용해 손을 보호하는 것도 방법이다. 가능하면 손으로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마스크 착용...외출시는 KF80 정도면 충분
외출할 때 마스크를 착용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는데 마스크를 올바로 착용해야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면으로 된 마스크보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한 보건용 마스크를 쓰는 게 좋다. 전문가들은 0.6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m) 크기의 미세입자를 80% 이상 차단하는 KF80 마스크면 충분하다고 설명한다.
KF94, KF99 등은 KF80보다 더 작은 미세입자를 잘 차단하지만 일상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숨이 차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은 아니다"고 말했다. 자기 얼굴 크기에 맞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콧대 부분을 잘 조정해 얼굴과 마스크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외출 시 착용했다가 실내에 들어와 벗었다면 재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타인과 대화하다가 상대방이나 자신의 침이 마스크에 많이 튀었다면 새것으로 교체한다.
KF80 이상이 필요한 경우는 1) 의료기관을 방문 하는 경우, 2) 기침, 재채기, 가래, 콧물, 목 아픔 등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3) 많은 사람을 접촉하여야 하는 감염과 전파 위험이 높은 직업군에 종사하는 사람(예를 들어 대중교통 운전기사, 판매원, 역무원, 우체국 집배원, 택배기사, 대형건물 관리원 및 고객을 직접 응대하여야 하는 직업종사자 등) 4) 건강취약계층, 기저질환자 등이 환기가 잘 안 되는 공간에서 2미터 이내에 다른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예: 군중모임, 대중교통 등) 등이다.


▲물 자주 마시기
물을 자주 마시면 감염병 예방이 도움이 된다. 호흡기 점막이 건조해지면 바이러스가 더 쉽게 침투할 수 있다. 병문안 등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확진 환자가 다녀간 곳으로 보도된 장소를 다녀온 뒤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질본 콜센터(1339)나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개방형 OS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PC 운영체제. 리눅수 (Linux)가 여기에 속한다. MS 윈도와 달리 소스프로그램이 공개돼 있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구름 OS, 티맥스 OS, 하모니카 OS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는2019년 5월 행정·공공기관 업무용 PC에 개방형 OS를 도입하겠다고 밝혔고 2020년 2월4일 개방형 OS도입 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개방형 OS는 2020년 하반기부터 시작될 예정인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계해 도입된다. 지금까지 공공기관들은 지정된 PC로만 인터넷에 접속해야 했다. 보안에 대한 우려 탓이었다.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가 도입되면 상황이 달라진다. 기기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센터를 거친 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가상 환경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이 서비스는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으로 불린다.

민간 클라우드와 개방형 OS의 도입으로 중앙부처 예산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인터넷 전용 PC와 행정 업무용 PC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서다. 지금까지는 공무원 한 명이 PC 두 대를 써 왔다.

정부는 행정·공공기관에 단계적으로 개방형 OS를 확산할 방침이다. 5년으로 지정된 PC 내구 연한이 끝나는 2026년부터는 대부분의 공무원이 개방형 OS를 사용하게 된다. 행안부 관계자는 “특정 기업에 대한 종속성을 낮추는 것은 물론, 향후 프로그램 구매에서 협상력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