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콘드라티예프 파동

Kondratieff wave

구소련 경제학자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가 1920년대에 주장한 이론.



그는 서방 자본주의 경제에서 철도 전기와 같은 대발명은 50년을 주기로 나타나기 때문에 한 나라 경기도 40~60년을 주기로 호황과 불황이 크게 순환한다 것이 이 이론의 골자다.



이 순환을 만드는 건 기술혁신이다. 통상적으로 제품을 개발해 표준화될 때 까지 기업매출은 증가한다.



통상적으로 제품을 개발해 표준화될 때까지 기업 매출은 증가한다. 그래서 이 시기엔 기업가의 혁신 동력이 약하다. 하지만 시장에서 품질 표준이 형성되고 제품이 ‘일반적인 상품’이 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소비자는 열광에 대한 대가로 추가금을 낼 의향이 없다. 위기감을 느낀 기업들은 신기술에 투자하고, 혁신이 이뤄지면 새로운 활황이 시작된다. 1780년대의 섬유산업, 1840년대 증기기관과 철도, 1890년대 전력, 1940년대 자동차, 1990년대 컴퓨터 기술이 그렇게 출현했다.



하지만 이 이론의 시대적 배경이 된 1920년대와 지금은 다르다. 증강현실 시대가 현실화됨에 따라 모든 경제활동의 주기가 짧아지는 이른바 "경기순환의 단기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학계에서도 이 장기변동이론이 힘을 잃은 지 오래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