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기본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을 위험자산으로 나눈 것이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다. 이때 자기자본은 "기본자본(Tier 1)"과 "보완자본(Tier 2)"으로 구성된다. 기본자본은 자본금 내부유보금 등 실질 순자산으로 영구적 성격을 지닌 반면 보완자본은 후순위채권 등 부채 성격을 지닌 자본을 말한다.

보완자본을 뺀 기본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산출한 지표가 기본자본비율이다. 통상 자기자본비율 10% 이상,기본자본비율이 8% 이상이면 우량 은행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2008년 말 금융당국은 각 은행에 이를 2009년 1월까지 9%까지 높이도록 요구했다. 기본자본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유상증자나 배당 억제 등이 대표적이다. 부채와 자본의 성격이 혼합된 하이브리드채권을 발행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