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한국형 헤지펀드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해 시황에 관계없이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공모펀드는 한 종목에 자산의 10% 이상 투자할 수 없지만 헤지펀드는 이런 투자비중 제한이 없다. 전통적인 주식 롱쇼트(저평가 주식 매수, 고평가 주식 매도) 외에 기업공개(IPO), 메자닌 등 다양한 투자전략을 활용한다.



금융당국이 2011년 12월 기존 사모펀드보다 운용 관련 규제를 완화하며 내세운 명칭이다.



펀드당 49명 이하만 가입할 수 있고 최소 투자금액은 1억원 이상씩 투자하도록 했다. 그러나 2015년 말 기준 헤지펀드 설정액은 3조4천여억원에 불과 했다.

그러나 한국형 헤지펀드는 2015년 10월 금융당국이 운용사 설립요건을 인가제에서 등록제로 낮추고 2017년에는 최소 투자금액을 500만원으로 낮추는 등 규제를 완화하면서 본격적인 성장기로 진입했다.

한국형헤지펀드의 전체 순자산 규모는 2015년 말 3조4천여억원에서 2018년 말 24조원을 상회할 정도로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2019년 들어 증시조정에다가 10월 9일 국내 헤지펀드 1위 업체인 라임자산운용이 펀드 환매를 중단하는 사태까지 발생하면서 전체 웅용업계에 대한 신뢰위기로 번질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