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

탄도미사일을 잠수함에서 발사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물밑에서 쏘기 때문에 인공위성이나 레이더를 이용한 사전 탐지 및 추적이 쉽지 않아 ‘보이지 않는 주먹’으로 불린다.

일반적으로 SLBM 개발은 지상 사출 시험, 바지선 등을 이용한 수중 사출 시험, 잠수함 시험 발사 등 3단계를 거쳐 완성된다.

SLBM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콜드 론치’이다. 콜드 론치는 수중에서 잠수함이 압축공기로 탄도미사일을 물 밖으로 밀어올린 뒤 엔진을 점화시키는 기술이다. 수중에서 발사되기 때문에 탐지가 어렵고, 발사 지점을 은폐하기도 쉽다.



SLBM 기술의 최종 단계는 잠수함 탑재다. 아무리 위력적인 SLBM 미사일을 개발했어도 이를 잠수함에 싣지 못하면 무용지물이다. 발사 압력을 견디며 안정적으로 SLBM을 쏠 수 있는 잠수함이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2021년 7월초 국산 SLBM의 수중 바지선 시험 발사에 성공했고 2021년 9월 15일 국내 최초로 SLBM의 잠수함 발사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써 세계 7번째 SLBM개발국가가 됐다. SLBM은 3,000t급 도산안창호함에 탑재돼 수중에서 발사됐고 400여km를 비행한 뒤 목표 지점을 정확히 타격했.



군은 사거리 500㎞ 탄도미사일인 ‘현무-2B’를 기반으로 SLBM을 개발해 왔다. 그동안 여러 차례 지상 및 수중 시험발사를 진행했고, 2021년 9월초 도산안창호함에서 수중사출 시험에 성공하며 ‘콜드론치(cold launch)’ 기능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이날 시험에서 콜드론치 이후 '부스터'와 '메인추진기관'까지 점화하는데 성공했다.



잠수함에서 은밀하게 발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SLBM은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은 전력으로 평가받는다.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인도 등 6개국만 운용하고 있다. 북한은 2015년과 2019년 SLBM 수중 시험발사에 성공했으며 SLBM을 탑재할 로미오급 개량형 신형 잠수함(3200t급)인 신포-C급의 건조 진수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