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담보유지비율

신용거래시 주식을 담보로 증권사에서 돈을 빌릴때 주식의 가격하락을 대비해 상당액 이상으로 담보를 유지하도록 정해진 비율.

현재 우리나라는 보통 담보유지비율을 140%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담보로 맡긴 주식 평가액이 담보유지비율보다 커야하며, 담보평가비율이 담보유지비율 아래로 떨어지면 증권사는 부족한 담보금액의 납부를 요구할 수 있다. 담보평가비율은 (계좌평가금액/대출금액)x100으로 구한다.



예를 들어보자. 투자원금 400만원, 신용융자금 600만원으로 1주 1만 원인 주식 1,000주를 매수했다고 가정해보자. 이 주주의 계좌평가금액은 1천만 원, 담보평가비율은 167%가 된다.



후에 주식가격이 1만 원에서 8500원으로 떨어지면 계좌평가금액과 담보평가비율은 142%로 떨어진다. 8300원일경우 담보평가비율은 138%로 떨어지는데, 140%이하부터 증권사는 주주에게 부족한 담보금액 납부를 요구한다. 주주가 담보비율을 맞추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신용매입주식을 매도하거나 부족금액을 현금으로 납부하는 것이다. 담보유지비율을 맞추지 못하면 증권사는 담보로 잡은 주식을 강제로 처분하는 주식반대매매에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