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령자의 건강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에이징테크는 일상적인 활동을 보조하는 간단한 장치부터 건강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안전을 보장하는 정교한 시스템까지 다양
- 여기서는 에이징테크의 유형을 건강관리 및 모니터링, 응급 상황 대응, 사회적 고립 예방, 일상생활 지원 측면으로 구분하여 실제 서비스 사례를 소개
읽는시간 4분
○ 고령자의 건강하고 독립적인 생활을 지원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에이징테크는 일상적인 활동을 보조하는 간단한 장치부터 건강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안전을 보장하는 정교한 시스템까지 다양
○ [건강관리] 고령자의 건강 상태에 기반한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복약 지도를 실시
[그림 4] 마이티헬스의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자료: 마이티헬스
[그림 5] 미헬스의 대화형 AI 케어 서비스
자료: 미헬스
○ [건강 모니터링] 집 안에서 이루어지는 고령자의 일상생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우울증 등을 예측
[그림 6] 웨어러블 기기 템포의 특징
자료: 케어프리딕트
[그림 7] 스마트 변기 시트의 주요 기능
자료: 카사나
○ [응급 상황 대응] 긴급 통화 장치나 센서 등을 활용하여 낙상, 심장질환 등 고령자의 주요 위험에 대응
[그림 8] 리비파이의 서비스 기기
자료: 리비파이
[그림 9] 카디오모의 심장질환 모니터링 서비스
자료: 카디오모
○ [사회적 고립 예방] 가족 및 지인과의 소통, 다양한 경험과 학습을 지원하여 사회적 고립을 예방
[그림 10] 가족과의 소통을 돕는 그랜드패드
자료: 싱가포르통화청(MAS)
[그림 11] AI 기반의 돌봄 로봇 엘리큐
자료: 인튜이션로보틱스
[그림 12] 겟셋업의 피트니스 영상
자료: 겟셋업
[그림 13] VR 콘텐츠 플랫폼 렌데버
자료: 렌데버
○ [일상생활 지원] 로봇 등을 활용하여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의 집안일이나 보행을 보조
[그림 14] 가정용 자율 이동 로봇 래브라도 리트리버
자료: 래브라도시스템스
[그림 15] 보행 보조 웨어러블 로봇 윔
자료: 위로보틱스
³ 산소포화도 및 심박수 측정 기능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음
⁴ 서비스 이용료는 베이직(Basic)이 월 30.35유로, 홈(Home) 39.9유로, 모바일2.0(Mobile2.0) 42.9유로이며, 돌봄이 필요한 건강 수준에 따라 최대 월 30.35유로를 장기요양보험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음
⁵ 낙상 감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미국의 에센스 스마트케어(Essence Smartcare)는 레이더 기반 낙상 센서를 활용하여 집 안에서는 감지 장치를 착용하지 않아도 낙상 사고를 감지 가능
KB경영연구소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