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킬 이코노미는 개인의 기술과 역량이 경제적 가치 창출의 핵심이 되는 경제 시스템을 의미하며, 노동 시장에서 직업적 가치와 성공을 평가하는 방식이 변화하며 주목을 받고 있음
• 전통적인 자본이나 노동 중심의 경제에서 벗어나 개인의 다양한 기술과 지식이 국가의 경제 성장과 개인의 경력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시대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학위나 교육 배경보다는 기술과 경험을 중시
읽는시간 4분
○ 스킬 이코노미는 개인의 기술과 역량이 경제적 가치 창출의 핵심이 되는 경제 시스템을 의미하며, 노동 시장에서 직업적 가치와 성공을 평가하는 방식이 변화하며 주목을 받고 있음
• 전통적인 자본이나 노동 중심의 경제에서 벗어나 개인의 다양한 기술과 지식이 국가의 경제 성장과 개인의 경력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시대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학위나 교육 배경보다는 기술과 경험을 중시
○ 스킬 이코노미의 등장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 스킬 갭(Skill Gap)의 확대, 긱 이코노미(Gig Economy)의 성장,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촉발됨. 특히 기술 가치의 반감기 단축은 스킬 이코노미의 도입 필요성과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요인으로 작용
• 경제학자 프리츠 매클럽(Fritz Machlup)은 1962 년 한 분야의 지식 절반이 쓸모 없는 것으로 판명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가리켜 ‘지식의 반감기’라 지칭
- 물리학자 새뮤얼 아브스만(Samuel Arbesman)에 따르면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지식의 반감기는 약 40년이었으나 20세기 말 10여 년으로 줄어들었으며, 21세기에는 10년이 채 되지 않음
• 지식의 반감기 개념을 기술에 대입하여, 기술이나 기술적 전문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얼마나 빨리 쓸모 없어지거나 구식이 되는지를 가리켜 ‘기술 가치의 반감기’라 함
- 과거에 널리 쓰인 코볼, 파스칼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현재의 기술 트렌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서버 등도 클라우드 컴퓨팅 등으로 대체되고 있음
• 혁신적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한 기술의 유용성과 경쟁력이 유지되는 기간이 점점 짧아짐에 따라 기업과 개인은 지속적인 기술 경신과 교체를 요구받게 됨
- 한 세대 전 약 26년이던 기술 가치의 반감기가 5년 미만¹으로 단축되면서 시장은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고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력을 필요로 함. 이런 현상은 기술 집약적인 업무에서 두드러짐
- 스킬 이코노미 시대에 개인은 높은 수준의 민첩성을 갖추고 지속적인 역량 개발과 유연성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해야 함
¹ Greg Satell, Abhijit Bhaduri, and Todd McLees, Oct. 6, 2023, “Help your employees develop the skills they really need”, Harvard Business Review
○ 스킬 피라미드는 기술 발전에 따라 기술의 가치와 중요도가 변화한다는 개념으로, 기술의 변천 과정과 시장에서 기술의 상대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 스킬 이코노미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개발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로 활용될 수 있음
• 스킬 피라미드에서는 기술의 유형과 가치에 따라 코모디티(Commodity)·마켓터블(Marketable)·니치(Niche) 기술로 구분²
• [코모디티 기술] 기본적이고 보편적으로 통용되어 시장에서 더 이상 차별화가 되지 않는 기술
- 워드, 엑셀, 이메일 사용 능력은 공식적인 교육이나 인증 없이도 쉽게 익힐 수 있으며, 과거에는 채용의 경쟁력이 되었으나 현재는 기본적인 요구사항으로 자리 잡음
• [마켓터블 기술] 특정 직업군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개인이 공식적인 교육이나 인증을 통해 습득해야 하는 기술
- 회계,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 능력은 일정 기간 채용의 경쟁력이 되었지만 기술 변화에 따라 곧 코모디티 기술로 곧 전락할 수 있음
• [니치 기술] 특정 분야나 직업군에서만 활용되는 고유하고 희소한 기술로 높은 경쟁력의 원천이 되며 개인이 스스로 습득해야 함
- 인공지능(AI)이나 양자컴퓨팅은 현재 기업이 적극적으로 찾는 기술로 초기에는 비공식적인 방법으로 습득해야 했지만 고수익을 보장
² https://www.abhijitbhaduri.com/blog/2014/08/05/skills-pyramid
○ 스킬 피라미드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기술 발전과 시장 요구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
• 어제의 니치 기술은 오늘의 마켓터블 기술, 내일의 코모디티 기술로 전락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환 주기는 기술의 반감기 단축과 함께 짧아지고 있음
- 애플의 프로그래밍 언어 스위프트(Swift)는 처음에는 니치 기술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마켓터블 기술로 전환
- 스킬 피라미드는 기술 변화의 속도와 시장의 수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개인과 조직 모두 지속적인 학습과 적응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해야 함을 강조
[그림 1] 스킬 피라미드
자료: Abhijitbhaduri.com
○ 생성형 AI의 등장은 기업 구성원에게 새로운 기술을 익히도록 요구
• 컨설팅회사 딜로이트에 따르면 MZ 세대는 생성형 AI 를 즐겨 사용하면서도, 생성형 AI 가 주도하는 자동화로 일자리가 없어지고 취업이 어려워질 것이라 우려하고 있음
KB경영연구소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