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5년마다 국민연금의 미래 재정전망(이하 재정추계)을 하고 있으며, 2023년 1월 시행된 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는 국민연금 기금의 고갈 시점을 2055년으로 전망
작게
보통
크게
2023년 국민연금 재정추계 발표로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활발
○ 정부는 5년마다 국민연금의 미래 재정전망(이하 재정추계)을 하고 있으며, 2023년 1월 시행된 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는 국민연금 기금의 고갈 시점을 2055년으로 전망
국민연금 적립금 전망 (국회)
자료: 국회예산정책처 ‘2019~2060년 국민연금 재정전망’ (2019년)
○ 재정추계 발표를 전후로 국민연금 개혁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이나, 개혁 방안에 대한 의견 차이가 커서 개혁안 도출이 미뤄지고 있음
개혁안은 결국 세금 인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논의가 어려운 현실
○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납부한 금액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 대비 12% 이상 더 받도록 설계되어 있어 ‘연금’형태(자신이 납부한 만큼 돌려받는 구조)로 지속 불가능
가입연도별 40년 가입시 초과수급률
자료: KB경영연구소
○ 국민연금 개혁안의 본질은 ‘누가 언제 얼마나 비용을 부담할 것인가’로, 결국 세금인상으로 이어져 논의가 어려움
¹ 국민연금 장기 운용수익률은 물가연동 임금상승률대비 2%p 가량 높으며, 이를 적용하여 계산할 경우 본인이 40년간 납부한 금액으로 65세부터 사망할 때 까지(평균 수명 84세 기준) 지급할 수 있는 금액
² 1988~1992년은 월소득의 3%, 1993~1997년은 월소득의 6%를 납부, 1998년 이후 9% 납부로 변경. 과거 가입자는 수급 시점도 60~64세로 더 오래 수급받아 실제 돌려받는 비율은 더 크게 상승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