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SC(스탠다드차타드)¹와 KB의 주요 지표 비교

SC(스탠다드차타드)와 KB금융의 성장과정 비교를 통해 본 시사점
23.04.10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성장성] 2001년 비슷했던 SC와 KB의 자산 규모는 2014년까지 SC가 더 빨리 증가해 2.6배까지 앞섰으나, 2015년부터는 KB가 더 빠르게 증가해 격차가 1.5배로 축소

  • 2001년부터 2014년까지 SC의 자산 규모는 1,075억 달러²에서 연평균 18.5% 증가한 반면 KB의 자산 규모는 미국 달러화 기준 1,194억 달러에서 연평균 7.0% 증가
     - 이 기간 KB의 한국 원화 기준 자산 규모는 연평균 5.5% 증가
 
  • 한편, 2015년부터 2021년까지 SC의 자산 규모는 미국 달러화 기준 연평균 2.1% 증가한 반면 KB의 자산 규모는 미국 달러화 기준 연평균 11.0% 증가
     - 이 기간 KB의 한국 원화 기준 자산 규모는 연평균 11.7% 증가

[수익성] ROA와 ROE는 2013년까지 SC가 KB를 대체로 앞섰으나, 2014년부터 SC는 급락 후 과거 및 KB보다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반면 KB는 상승 추세

  • 2001년부터 2013년까지 SC의 ROA와 ROE는 연평균 0.87%와 13.79%였으며 KB의 ROA와 ROE는 0.62%와 8.87%
 
  • 한편, 2014년부터 2021년까지 SC의 ROA와 ROE는 연평균 0.13%와 1.94%로 과거에 비해 낮아졌으며, KB의 ROA와 ROE는 연평균 0.64%와 8.12%로 2014년 반등 후 상승 추세

SC와 KB의 자산 규모

2001년부터 2022년까지, 'SC와 KB의 자산 규모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2001년부터 2014년까지 SC의 자산 규모는 1,075억 달러2에서 연평균 18.5% 증가한 반면 KB의 자산 규모는 미국 달러화 기준 1,194억 달러에서 연평균 7.0% 증가.

자료: SC, KB

SC와 KB의 ROA

2001년부터 2022년까지, 'SC와 KB의 ROA 추이'를 비교한 그래프. 2001년부터 2013년까지 SC의 ROA 연평균 0.87%였으며 KB의 ROA0.62%.

자료: SC, KB

SC와 KB의 ROE

2001년부터 2022년까지, 'SC와 KB의 ROE 추이'를 비교한 그래프. 2001년부터 2013년까지 SC의 ROE는 연평균 13.79%였으며 KB의 ROE 8.87%.

자료: SC, KB

SC와 KB의 NPL 비율

2001년부터 2022년까지, 'SC와 KB의 NPL 비율 추이'를 비교한 그래프. SC의 NPL 비율은 2008~13년 연평균 0.8%에서 2015년까지 2.0%로 급등 후 2021년 1.0%를 나타낸 반면, KB의 NPL 비율은 2008~13년 연평균 1.4%에서 2021년 0.3%로 하락세.

자료: SC, KB

[건전성] NPL 비율은 2008~13년 SC가 KB보다 낮았으나, 2014년부터 SC는 급등 후 과거 및 KB보다 높은 수준에서 하락 양상인 반면 KB는 과거보다 낮은 수준에서 하락

  • SC의 NPL 비율은 2008~13년 연평균 0.8%에서 2015년까지 2.0%로 급등 후 2021년 1.0%를 나타낸 반면, KB의 NPL 비율은 2008~13년 연평균 1.4%에서 2021년 0.3%로 하락세

¹ SC(Standard Chartered)는 시가총액 기준 영국 4대 은행 그룹, 시가총액 기준 영국의 1~4대 은행 그룹은 HSBC홀딩스(1,184억 파운드), 로이즈 뱅킹 그룹(335억 파운드), 바클레이즈(250억 파운드), SC(212억 파운드) 순
² SC는 영국계 은행이나 사업이 글로벌화돼 있어 Annual Report(연차보고서) 등에 미국 달러화로 주요 실적을 공개

목차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