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KB주택시장 리뷰 2025년 2월호

시리즈 총 7화
2025.02.13

읽는시간 4

0

요약

◦ 시장 불확실성 지속으로 매수세가 위축되며 수도권 주택가격이 하락 전환하고 거래량도 감소

  • 인천(-0.19%)·경기(-0.14%)에서 하락폭이 확대되고 서울(+0.05%)에서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하였으며, 서울에서도 하락 지역이 확대
  • 주택 매매 거래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월 거래량이 2개월째 5만 호를 하회하고 미분양 아파트가 크게 증가하는 등 주택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대

◦ [매매시장] 매수세 감소로 전국 주택 매매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거래도 위축

  • (매매가격) 1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2% 하락하며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임
    - 수도권(-0.08%)은 서울에서 상승세가 둔화되며(2024년 12월 +0.17 → 2025년 1월 +0.05%)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하였으며, 비수도권(5개광역시 -0.20%, 기타지방 -0.15%)은 하락세를 지속
    - 서울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1월 들어 하락 지역이 확대(25개 자치구 중 2024년 12월 5곳 → 2025년 1월 9곳)
    - 한편 서울시는 지난 2월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일부 해제하였으며 이는 해당지역 가격 상승 기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시장 불확실성이 커 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
  • (매매 거래) 12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4.6만 건)은 전월 대비 6.5% 감소하며 2개월째 5만 호를 하회
    - 수도권(-7.1%)과 비수도권(-6.0%) 모두 거래량이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은 8월 이후 5개월째 감소세가 지속

◦ [전세시장]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상승세가 둔화된 반면 전월세 거래량은 전월 대비 크게 증가

  • (전세가격) 1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01% 상승하며 지난달(+0.10%) 대비 상승폭이 축소
    - 수도권(서울 +0.05%, 경기 +0.08%, 인천 +0.08%)은 상승세가 둔화되고, 비수도권(5개광역시 -0.03%, 기타지방 -0.05%)은 하락 전환
  • (전월세 거래) 12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21만 7,971건으로 전월 대비 14.0% 증가
    - 임차 유형별로는 전월 대비 전세 거래(8.6만 건)가 7.7%, 월세 거래(13.2만 건)가 18.6% 증가
    - 12월 월세 거래 비중은 60.5%로 2021년 6월 전월세신고제 도입 이후 최고치를 기록

◦ [주택 분양] 분양물량 감소에도 미분양 아파트는 큰 폭으로 증가

  • 1월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약 1만 호로 전월 대비 50.3% 감소(수도권 -80.9%)
  • 12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7.0만 호)는 전월 대비 약 5천 호(수도권 +2,503호, 비수도권 +2,611호)가 늘었으며, 특히 준공후 미분양 아파트가 크게 증가(+ 2,826호)

◦ [주택 금융] 주택담보대출의 낮은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는 하락 전환

  • 1월 들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폭(+1.7조 원)이 확대되었으나 지난해 월평균 증가액(+4.4조 원)을 크게 하회
  • 12월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4.25%로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에 0.05%p 하락
부동산연구팀

KB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