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 관련 MOU 체결 예정 기사 보도
- 합병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 각 기업의 재무 우려, OTT 시장 점유율 상승, 콘텐츠 시너지 지
- 합병한다면 나타날 수 있는 재무적 효과는?
- 합병 비율은 어떻게 될까?
- 합병을 하면 산업 및 기업의 변화는?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 관련 MOU 체결 예정 기사 보도
ㅡ 11월 29일 언론기사에 따르면, 티빙과 웨이브는 합병을 위한 MOU를 내달 체결할 것이라 보도 (11/29, 한국경제).
해당 기사에서는 합병을 통해 CJ ENM이 합병법인 최대주주, SK스퀘어가 2대 주주에 오르는 구조이며, CJ ENM이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고 보도
■합병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 각 기업의 재무 우려, OTT 시장 점유율 상승, 콘텐츠 시너지
ㅡ 합병이 제기되는 이유는 1) 각 기업의 재무 우려, 2) OTT 시장 점유율 확대, 2) 콘텐츠 시너지 기대
ㅡ 티빙/웨이브의 2022년 기준 Free cash flow는 -1,433억원/-900억원이고, 기말 현금은 1,030억원/459억원.
2023년에도 분기 영업손실이 계속되고 있어 재무 상황이 악화되었을 것 (웨이브는 23년 유상증자 250억원 실시).
또한 웨이브는 투자자금 2,000억원 만기가 24년 11월 도래
ㅡ 국내 OTT 시장에서 티빙과 웨이브는 10월 MAU 기준 각각 3위와 4위 업체이고, 구독자 증가세도 둔화되고 있음.
합병을 통해 가입자 이탈이 없다면 OTT 시장 점유율은 넷플릭스와 근접해질 것으로 기대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