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원달러 환율 급등: 환율에 대한 3가지 피드백
- 원화 약세의 장기화 가능성을 고려하는 3가지 근거
- 원화 약세의 단기 배경: 채권도 주식에 대한 외국인 매도
■ 원달러 환율 급등: 환율에 대한 3가지 피드백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고 있다.
최근 세미나를 통한 피드백을 종합해보면, 3가지 의견이 혼재한다.
① 달러화 약세 가능성 (자연스레 원달러 환율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 ② 장기적인 원화 약세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미국과의 협상이 최악을 면했기 때문에 (연 200억 달러 투자로 조정) 원화 강세 가능성, ③ 원달러 환율의 상승 지속이다.
이와 관련한 생각을 정리했다.
■ 원화 약세의 장기화 가능성을 고려하는 3가지 근거
1) 유동성 공급 속도: 한국 > 미국
환율에 대한 피드백 중 첫 번째인 ‘달러화 약세 가능성’을 주장하는 근거는 대부분 ‘미국의 유동성 과잉 공급과 부채 규모의 확대’다.
이러한 관점에 대해서는 100% 동의하며, 『글로벌 금융 빅뱅: 정부부채와 금융자본주의 시대의 투자전략』 (7/24)에서 주장한 바 있다.
하지만 같은 자료에서 한국에 대해서도 다뤘는데, 문제는 지금의 국제 경제를 보면 미국 뿐만 아니라 일본, 유럽, 한국 등의 국가들도 유동성을 확대하고 부채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다.
환율은 상대적인 가치이기 때문에 미국만 봐서는 안되며, 다른 국가들도 마찬가지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차트가 <그림 1 (표지의 우측 차트)>이다.
M2 증가율을 비교해보면, 미국보다 한국이 더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