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업

Buy

Focus on ESG vol.6 주가전망

신 기후체제, 지속가능 투자를 위해 알아야 할 탄소배출량
20.10.06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 2021년부터 신 기후체제가 본격화될 것이 예상되는 가운데 탄소배출량에 대한 관심 증가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잣대인 ESG 요소 중 환경 요소 (Environment Pillar) 가운데 파리협정이 본격적으로 발효되는 2021년 신 기후체제를 앞두고 각 국가 및 기업의 탄소배출량 및 저감 목표 등이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한국 정부가 7월 16일 발표한 그린 뉴딜뿐만이 아니라 EU의 그린딜 정책 강화, 미 대선에서 환경 정책에 대한 관심 증가로 그 핵심에 있는 기후위기 (기후변화)와 그를 위한 탄소배출량 감축 정책 등이 이슈화 중이다.

■ 파리협정, 지속 가능한 투자를 위해서 신경 써야만 하는 기후 변화에 대한 정부 대응

지속 가능한 투자를 위해서 투자대상 기업의 이해관계자인 각 국 정부의 정책을 살피는 것은 자명하다.
현재 각 국 정부들은 코로나19의 극복만이 아니라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적극적이다.
기후 위기는 단순히 기온이 3~4℃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적인 차원에서도 큰 충격을 야기할 것 (각 국 GDP의 큰 폭 감소, 생활 반경의 축소, 식량 및 용수 공급 부족 등)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KB증권은 지난 8/31 보고서 (기후변화 대응, 긴 이야기의 시작)에서 전망한 것처럼 코로나19에 대한 경기 부양 및 일자리 창출 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EU의 회복기금 중 30%를 녹색채권으로 발행하기로 한 정책, 중국의 2060년 탄소중립 경제 목표의 제시 등 코로나19 이후에도 기후 변화에 대해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준섭 김준섭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