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하게 보기
- Capital Market Model은 자산배분의 정합성을 검토할 때 유용
- 주성분 분석 (PCA)을 통해 매크로 변동을 잡아내는 팩터 생성
- FAVAR 모듈에선 주요 팩터 간의 장기 안정적인 관계 추정
- Monte Carlo 시뮬레이션으로 목표 시점에 수익률 분포 산출
■ Capital Market Model은 자산배분 측면에서 정합성을 검토할 때 유용
Capital Market Model (CMM)을 구성해 2023년도 자본시장가정 (CMA)을 구했다.
CMA는 자산별로 기대수익률과 위험을 추정한 결과로 자산배분/포트폴리오 솔루션에 연동된다.
글로벌 운용사들 (Vanguard, BlackRock 등)은 내부적으로 모형을 만들어 일정 주기로 CMA를 산출, 공개한다.
CMA의 목적은 특정 자산의 연말 가격을 정확하게 맞히는 것이 아니다.
CMM과 같은 체계는 투자의사결정의 노이즈를 줄인다.
모델이 잘못될 경우 편향을 지닐 순 있지만, 노이즈와 편향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보단 낫다.
CMA는 장기 자산배분에 주로 활용되며, 포트폴리오 전략과 연동하면 CMM의 기대수익률과 위험은 포트폴리오 최적화 과정에서 인풋 값이 된다.
CMM은 자산배분의 정합성을 검토할 때 활용할 수 있으나, 투기 목적에는 부적합하다.
예를 들어 CMA상 단기 채권 ETF (SHY) 기대수익률이 3.4~3.5%, S&P500 ETF (SPY) 기대수익률이 4.7~5.5%인 것은 SPY가 더 좋으니 SPY를 매수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기대수익률은 SPY가 더 높지만, 위험을 감안하면 실현수익률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CMM에서 SPY의 위험은 22.1%로 측정됐고, SHY의 위험은 3.2%로 측정됐다.
SPY는 위험이 높은 만큼 손실 가능성도 (SHY보다) 높고, 그에 맞춰 기대수익률은 높게 측정되는 것이 합리적이다.
물론 이 예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단순히 2개 통계량을 비교한 결과다.
CMM 구성에 따라 고위험 자산에도 낮은 기대수익률이 부여될 수 있다.
예로 에너지 섹터 (XLE)의 기대수익률은 1.1%~3.3%인데, 위험은 43.8%이다.
이런 경우엔 모형 내의 다른 요인 (매크로 팩터, 배당 팩터 등)을 함께 살펴 정합성을 따져야 한다.
KB증권은 동 조사분석자료를 기관투자가 또는 제3자에게 사전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본 자료를 작성한 조사분석담당자는 해당 종목과 재산적 이해관계가 없습니다. 본 자료 작성자는 게제된 내용들이 본인의 의견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외부의 부당한 압력이나 간섭 없이 신의 성실 하게 작성되었음을 확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