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통제력에 의구심을 높이는 강한 소비 수요. 그만큼 강하게 나타날 차기 정부의 연준 압박
1) 9월 수치가 대폭 상향 수정된 소매판매. 10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0.4% 증가하면서 시장 예상 0.3%를 상회. 전월 변화율은 0.43%에서 0.84%로 대폭 상향 수정. 휘발유 가격이 하락한 영향에 주유소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08% 증가에 그쳤는데, 주유소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42% 증가. 전월 변화율은 0.6%에서 0.98%로 상향 수정. 8월 말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강력하게 예고된 후에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나오기 시작했고, 9월 중순에 실제로 기준금리 인하된 후에는 예상보다 큰 폭의 인하가 단행됐다는 소식에 소비심리가 개선. 이런 영향에 9월 소매판매는 기존에 발표된 것보다 더 강했는데, 10월 소매판매까지 대체로 예상치를 상회. 2) 내구재 중심의 수요 회복. 가구/인테리어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29% 감소했지만, 자동차/부품 딜러의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58% 증가했고 전자제품 소매판매도 전월 대비 2.32% 증가하는 등 내구재 수요가 높아지고 있음. 기준금리가 낮아지면서 내구재 구매 환경이 개선되고 내구재 수요도 살아나고 있다는 사실은 소비심리 지표들에서 확인된 바 있음 (10/28, 11/4). 9월에는 가구/인테리어, 자동차, 전자제품 같은 내구재보다 의료, 운동/취미/악기/서점, 의류/악세사리 같은 비내구재 중심으로 수요가 높아졌는데, 기준금리 인하가 실제로 단행된 이후부터는 내구재 수요가 높아지는 모습이 나타남. 내구재를 중심으로 상품 수요가 살아나면서, 10월 소비자물가지수 (CPI)는 2개월 연속으로 전월 대비 상승 (11/14). 3) 약해지지 않는 서비스 수요. 소매판매에서 식당/주점 소매판매를 통해 서비스 수요를 일부 확인할 수 있음. 10월 식당/주점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9% 증가했고, 9월 변화율은 1.05%에서 1.16%로 상향 수정. 최근 3개월 월평균 변화율은 0.83%로 3개월 연속 상승 중. 주거를 제외한 근원 서비스 가격에 상당 부분 기여하는 임금의 상승률이 다시 반등하면서, 주거를 제외한 근원 서비스 인플레이션 압력은 쉽사리 약해지지 않을 전망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