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

Not Rated

KOSDAQ, 올해가 나쁘니 내년은 좋다?

KB Quant
24.12.18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올해가 나쁘면 내년이 좋다”.
허술한 논리처럼 보여도 그 밑바닥에는 평균회귀라는 강력한 법칙이 있다.
그 관점에서 2025년 상반기 KOSDAQ에 주목하며 관심종목도 꼽아보았다.

■ 상반기 KOSDAQ 관심의 근거: 허술해 보이지만 단순하지 않은 논리, 평균회귀
올해 KOSPI와 KOSDAQ은 12월 16일 현재 -6.3%, -19.4%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KOSDAQ은 최근 20년 중 세 번째로 많이 빠졌다.
KOSDAQ이 많이 빠진 다음 되돌림이 얼마나 나왔는지 측정해보면, -10% 이상 하락한 다음 해의 평균 연간 수익률 (연초에서 연말까지)은 24.4%, 평균 연초 주가대비 최대 상승폭 (연초에서 연고점까지)은 39.5%였다 [표1].
KOSPI의 되돌림 폭보다 크다.
KOSDAQ의 되돌림이 나왔을 때 언제 팔아야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는지 보면 (연고점을 달성한 날짜), 4월, 5월, 7월로 KOSDAQ의 되돌림은 상반기에 집중됐다.

“올해 안 좋았으니 내년은 좋을 거다”라는 말은 비록 허술해 보이지만, 그 안에 중요한 통계논리가 자리하고 있다.
인간은 펀더멘탈의 정확한 가치를 알 수 없으나, 주가의 오르내림이 가치를 향해가는 과정이라면, 장기로 주가와 펀더멘탈의 수익률 차는 0에 가까워지는 ‘평균회귀’의 모습일 것이다.
이 관점에서, 올해 주가가 빠지면 내년 주가가 오르는 패턴이 통계상 유의미한 (R^2=0.41) 것도 ‘평균회귀’의 증거가 될 수 있다 [그림2].
사실 평균회귀는 주변의 많은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애널리스트가 매번 맞추지는 못하는 것, 펀드 수익률이 매년 좋지는 않은 것도 평균회귀 때문이다.
김민규 김민규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