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 영향은 주가지수의 수준을 한 단계 낮췄지만, ② 관세 불확실성이 낮아지면서 반등세 지지
표적을 좁힌 상호관세를 발표할 전망. 트럼프 정부는 예고한 대로 4월 2일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 그러나 선거 기간 동안 약속한 보편관세의 형태는 아닐 전망. 트럼프 정부 인사들이 최근에 ‘Dirty 15’로 지칭하는 15개 국가들에 대해 관세율을 높이는 게 주요 내용일 것. Dirty 15는 미국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거나 비관세 장벽을 세워서 불공정한 무역을 추구했다고 지목된 나라들. 구체적인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중국을 포함해서 EU (아일랜드, 독일 등), 베트남, 대만, 일본, 한국, 인도, 멕시코, 캐나다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음. WSJ에서는 무역 상대국을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서 관세율을 차등 적용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고 했지만, 그 방안은 폐기된 것으로 보임. 그리고 Dirty 15로 지목되고 있는 나라들은 보복관세를 준비하거나 협상을 이어가겠다는 의사를 보이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도 예외는 없다는 기본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유연성 (flexibility)을 빠뜨리지 않고 강조하면서 협상의 여지를 열어 놓고 있음. 관세 그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는 더 좋은 무역 협상을 이끌어내는 게 목적일 가능성을 높이는 소식. 꽤 높은 관세율이 적용될 거라는 전망도 있지만, 특정 품목에 대해서만 그럴 가능성이 높음. 최근에 미국은 특정 품목을 지칭하면서 보복관세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론 형성에 주력. 일본이 미국산 쌀에 부과하는 700% 관세율이나 한국이 30개월 이상 연령의 미국산 소고기를 수입하지 않는 정책 등이 대표적인 예. 그러나 다소 협소한 예를 들수록 전면적인 관세 부과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분위기가 우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