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유예, 2분기 수요 견인할 전망

반도체
최신글
2025.04.11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트럼프 관세 유예, 반도체 섹터에 긍정적 영향

ㅡ 트럼프 행정부는 4월 9일, 상호 관세 정책에 대한 90일간의 유예를 발표함.
이는 중국을 제외한 국가를 대상으로 보편 관세인 10%만 부과하며 상호 관세는 유예하는 조치임.
반도체는 4월 2일 미국의 관세 정책에서 당분간 면제된 상황으로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이나, 중국에 부과된 상호 관세에 따른 간접적 영향 (전방 산업 둔화)이 예상됨
ㅡ 국내 반도체는 중국 및 대만에서 완제품 형태로 조립되어 간접적인 형태로 미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음.
이에 따라 반도체 품목은 전방 산업 둔화에 따른 간접적 영향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됨.
DRAM과 NAND의 모바일/PC向 생산 비중은 각각 47%, 56% 수준으로 관세 부과로 인한 전방 산업 악화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감소 원인이 될 전망임

■관세 대응을 위한 Rush-order 효과 존재

ㅡ 상호 관세에 따른 구매 심리는 DRAM 스팟 가격에서도 나타남.
24년 8월부터 하락했던 DDR5 스팟 가격은 1월 20일 트럼프 취임식에서 ‘미국우선 통상정책 각서’ 발표 이후 상승 전환함.
그리고 2월 13일 ‘상호 무역 및 관세 각서’ 발표 이후 가격은 가파르게 상승하며, 50 영업일간 15% 상승을 기록했음.
이는 구체적인 관세 발표 전 Pull-in 수요로 판단됨.
반면 4월 2일 예상보다 높은 상호 관세율이 발표된 이후 영업 환경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DDR5의 가격 상승은 중단됨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