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상호관세 전으로 돌아간 멀티플과 하향 조정 압력 줄어든 이익전망

US Market Pulse
최신글
2025.05.13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예상보다 큰 폭의 미중 관세 인하 합의에 주가 급등

- 미중 상호 관세 인하 합의: 미중 무역협상 결과에 3대 지수 모두 큰 폭 상승.
스위스 회담 이후 월요일 오전에 공개된 미중 공동성명에 따르면, 양국은 상호 부과한 관세율의 115%p를 인하하기로 결정.
미국은 145%에서 30%로, 중국은 125%로 10%로 인하.
이번 상호 관세 인하는 90일간 유효하며, 그 기간 동안 광범위한 합의를 도출해 나간다는 계획.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 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중국이 비관세 장벽을 철폐하기로 합의했음을 강조.
90일간의 협상에서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관세가 다시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145% 수준까지 높아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임.
또한 이번 주말에 시진핑 주석과 통과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를 높임
-
S&P 500 멀티플과 이익전망의 현 위치: S&P 500 지수는 2월 중순 이후 하락폭의 74%를 되돌려, 현재 전고점 대비 4.9% 낮은 수준에 위치.
4월 8일 저점 이후 반등 과정에서 주가지수를 끌어올린 것은 밸류에이션 멀티플.
이 기간 동안 12개월 선행 P/E는 14% 이상 상승했고, 12개월 선행 EPS는 0.4% 하락했음.
① 밸류에이션 멀티플의 경우, 고강도 상호관세의 충격을 상당 부분 해소했다고 볼 수 있음.
12개월 선행 P/E는 21배를 넘어서면서 상호관세 발표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왔음.
멀티플이 2월 중순 22.5배에서 하락했던 과정을 되짚어 보면, 잔존한 관세 부담이 경기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우려와 중국과의 경쟁으로 미국 대형기술주가 압도적 이익 모멘텀 우위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멀티플의 추가 상승을 제한할 수 있음.
② 이익전망의 경우, 트럼프 2기 관세 인상의 영향을 후행적으로 반영해 나가고 있던 상황.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는 인하 후에도 여전히 30%가 부과되고 중국 외 국가에 대한 보편관세 10%도 유지되고 있어서, 트럼프 2기 전에 비해 기업 실적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존재.
하지만 트럼프 2기 취임 후 2025년과 2026년 EPS 컨센서스가 이미 3% 이상 하향 조정된 상태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익전망의 추가 하향 조정 압력은 크지 않을 것.
오히려 무역협상을 통해 관세 불확실성이 완화되면서 각종 수요가 되살아날 수 있다는 점은 이익전망의 상방 요인.
대형은행들은 지난 4월 실적 발표에서 무역 불확실성이 해소됐을 때 기업 투자와 M&A 등을 위한 자금조달수요가 빠르게 회복될 수 있음을 강조한 바 있음 (4/14).
실제로 블룸버그는 미중 무역협상 결과가 나온 월요일에만 미국 투자등급 회사채 시장에서 16개 기업이 190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보도
안소은 안소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