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void coefficient
물을 냉각재와 감속재로 겸하는 원자로에서는 냉각재로서 물이 끓을 때 기포가 생기고 이에 따라 감속재로서의 역할과 노심의 출력 정도가 달라진다. 이 반응의 변화율을 보이드 계수라고 말한다. 예를 들면 온도가 올라가서 냉각수가 많이 끓어 기포량이 증가, 노심의 반응도가 감소했을 경우 "음의 보이드 효과"라고 말한다. 보이드 계수는 원자로의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감속재·핵연료의 종류·노심 상태·감속재와 연료의 체적비 등에 의해 상당히 변한다. 보통 원자로 운전 시 보이드 계수는 항상 음의 값을 취해야 한다.
bimodal tram
버스와 지하철을 혼합한 신개념 차량으로 무공해 동력원인 연료전지를 이용해 버스처럼 일반도로를 달리기도 하고 경전철처럼 전용 궤도에서 자동 운전도 가능하다. 탑승계단을 없애 노인 어린이 장애인도 쉽게 타고 내릴 수 있다.
GPS 수신기를 고정된 지점에 설치하고 데이터를 24시간 측정하는 관측소. 지각운동 감시, 대류층 및 지구 전리층 감시 등에 활용되며 우주측지·지구과학에 관련된 기초연구자료를 제공한다. 우주측지기술은 인공위성이나 천체 등 우주공간상 대상을 이용해 지구 형상(중력계), 지상 위치(좌표계), 지구 자전축 변화 등을 감지해 지구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boric acid
붕소(boron)와 산소·수소가 결합된 화합물. 소독력은 약하지만 생체에 대한 자극력이 낮고 물에 잘 녹아 수용액 형태로 방부·소독제로 많이 쓰인다. 원자력발전소는 연료로 사용되는 우라늄의 양성자와 중성자가 분열될 때 발생하는 열로 증기를 발생시켜 전기를 만드는데 붕산에 포함된 붕소성분은 중성자를 흡수해 핵분열을 억제한다. 이런 이유로 붕소는 카드뮴(Cadmium, Cd)과 함께 원전의 출력을 조정하는 제어봉(control rod)의 주성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양성자와 함께 원자핵을 구성하는 물질.양성자나 전자와 달리 전기를 띠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중성자로 불린다. 원전 연료로 쓰이는 우라늄의 원자핵은 외부에서 중성자를 흡수하면 둘로 쪼개지며 핵분열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막대한 에너지와 함께 2~3개의 중성자가 엄청난 속도로 분출된다. 원자로는 감속재로 중성자의 성질을 적절히 제어해 에너지를 얻는다.
핵연료심(펠릿)을 지르코늄 등 금속 피복재로 둘러싼 후 밀봉해 만든다. 연료봉 안에선 우라늄이 연쇄 핵분열하며 막대한 에너지와 방사성 물질을 방출한다. 이 에너지는 열에너지(증기)→운동에너지(터빈)를 거쳐 전기에너지로 전환된다. 방사성 물질은 피복재인 지르코늄과 냉각수 등으로 인해 1차 차단되며 원자로 베셀(vessel),격납고 등으로 2중 3중으로 차단된다. 사용 전 핵연료봉은 원자로 안 노심에 다발로 뭉쳐 있으며 사용 후 핵연료봉은 뽑아내 격납고 밖 수조에 보관한다.
법인의 대표나 종업원이 법률을 위반하면 해당 법인에도 죄를 묻는 것을 말한다.
기술 자격이나 기술 면허를 가진 청년들을 군 복무 대신 국내 중소기업에 근무토록 하는 병역대체 복무제도다. 중소기업 인력난을 덜어주자는 취지로 1973년 시작됐다. 산업기능요원들은 4주간의 군사교육을 받은 뒤 지정 중소기업에서 최소 34개월(보충역은 26개월) 이상 근무해야 한다.
원자로에서 핵분열 과정을 거쳐 수명이 다 된 연료봉을 말한다. 그러나 봉을 구성하는 플루토늄239와 우라늄235 등이 강력한 방사성 물질과 높은 잔열을 방출한다. 통상 5~7년 정도의 냉각과정을 거쳐야 잔열과 방사성 물질이 안전수준에 도달한다.
중앙은행이 환율의 급변동을 막기 위해 자국 외환시장에서 보유 외화를 팔거나 외화를 매입하는 것. 2011년 3월 18일 일본은행(BOJ)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등 주요 7개국(G7) 중앙은행들은 일본지진의 여파로 인한 엔화의 급격한 강세를 진정시키기 위해 엔화를 파는 시장개입을 단행했다.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