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힙’ 트렌드의 정의와 부상 배경

글로 전하는 긴 여운, 텍스트의 힘 1화
25.06.30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 텍스트 힙(Text Hip)은 ‘글자’를 뜻하는 ‘텍스트’와 ‘멋있다, 개성 있다’는 의미의 ‘힙하다’의 합성어로 독서와 글쓰기 같은 텍스트 기반 활동이 ‘멋지고 세련된 것’으로 인식되는 현상을 일컬음

○ 텍스트 힙 트렌드의 부상 배경에는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으로 성인 독서율이 낮아지며 대중적 취미인 독서가 소수만이 즐기는 고급스럽고 지적인 취미로 인식되는 사회적 분위기가 자리함


• 문화체육관광부의 ‘2023년 국민 독서 실태 조사’에 따르면, 성인 연간 독서율¹은 2013년 72.2%에서 2023년 43%로 10년 사이 절반 이하로 하락함


• 한국갤럽의 ‘한국인이 가장 즐겨하는 취미’ 조사에서도 독서는 2004년까지만 해도 등산 다음으로 즐겨하던 대중적 취미였으나, 20년 후인 2024년에는 게임, 운동, 영상 시청 등에 밀리며 소수가 즐기는 취미가 됨

¹ 1년 동안 일반 도서(교과서, 학습참고서, 수험서, 잡지, 만화 제외)를 1권 이상 읽은 사람의 비율(종이책, 전자책, 오디오북 포함)

○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한 Z세대²는 아날로그적 독서를 희소하고 멋있는 행위로 인식하여 자신의 정체성과 취향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활용함


• 문화체육관광부의 ‘2023년 국민 독서 실태 조사’에서 20대 독서율은 74.5%로 전 연령대를 아울러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함


• 유년기부터 유튜브·틱톡 등 숏폼(Short-form) 영상에 노출되어 온 Z세대가 과도한 시각 자극에 피로를 느끼면서, 역설적으로 텍스트 읽기 쓰기의 아날로그적 몰입감을 가치 있게 여기기 시작


- 실제로 짧은 영상에 익숙한 이 세대에게 독서란 쉽지 않은 ‘난이도 있는 행위’지만, 바로 그 점 때문에 더 개성 있고 특별한 취미로 인식


- 디지털 원주민 세대의 ‘문해력 저하’ 우려 속에서 오히려 ‘활자를 즐기는 것이 힙하다’는 역발상이 등장한 것이 텍스트 힙 트렌드의 출발점


• 텍스트 힙 트렌드는 자신의 생각과 일상을 ‘기록하고 공유’하려는 욕구와도 맞물려 있음


- Z세대는 블로그를 디지털 일기장처럼 사용하고 인스타그램의 독서 관련 게시물 ‘북스타그램(Bookstargram)’과 틱톡의 책 추천 콘텐츠 ‘북톡(BookTok)’ 등을 통해 독서 경험을 공유함


- 특히 북톡에서 Z세대 사이에 화제가 된 책이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등³ 출판 시장에서 소셜 네트워크 콘텐츠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음

성인 연간 독서율 추이

'성인 연간 독서율'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2023년 국민 독서 실태 조사’

연령대별 독서율

'연령대별' '독서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문화체육관광부, ‘2023년 국민 독서 실태 조사’

인스타그램의 북스타그램 게시물

'인스타그램'의 '북스타그램' 게시물이다.

자료: 인스타그램

² 1990년대 중후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출생한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


³ 콜린 후버(Collen Hoover)의 소설 『우리가 끝이야』는 출간 당시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2021년부터 북톡을 통해 화제가 되며2022년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으며 2024년 영화로도 제작됨

○ Z세대에게 독서는 혼자서 즐기는 조용한 취미를 넘어, 소셜 네트워크나 오프라인 독서 자료: 인스타그램 모임 등의 활동을 통해 책을 읽고 공감을 나누며 관계를 형성하는 네트워킹 활동으로 진화함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