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위원회가 지난 7월 10일, 2026년 최저임금을 10,320원으로 결정했어요. 2025년 대비 2.9% 올랐는데요. 2026년도 최저임금 기준 월급과 연봉은 얼마인지, 또 최저임금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알아볼게요.
작게
보통
크게
목차
최저임금위원회가 지난 7월 10일, 2026년 최저임금을 10,320원으로 결정했어요. 2025년 대비 2.9% 올랐는데요. 2026년도 최저임금 기준 월급과 연봉은 얼마인지, 또 최저임금은 어떻게 정해지는지 알아볼게요.
최저임금 결정 방법
최저임금이란? 어떻게 결정하나요?
최저임금이란 노동자의 기초 생활을 보장하고, 소득 격차를 줄여 사회 전체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돕는 제도예요. 매년 고용노동부 장관의 요청으로 최저임금위원회가 심의하고 결정해요.
최저임금위원회는 노동계를 대표하는 근로자위원, 경영계를 대표하는 사용자위원, 정부가 위촉하는 공익위원 각각 9명씩 총 27명으로 구성돼요.
최저임금은 「최저임금법」에 따라 4가지 요소를 균형 있게 고려하도록 규정돼 있어요.
일반적으로 3월 말 고용노동부가 최저임금위원회에 최저임금 심의를 요청하면, 최저임금위원회는 공청회와 회의를 거쳐 6~7월 초 표결을 통해 결정해요. 이후 8월 최종적으로 최저임금을 고시하고, 다음 연도 1월 1일부터 새로운 최저임금이 적용돼요.
최저임금은 노동자와 사용자 간 합의로 결정하는 게 원칙이에요. 하지만 현실에서는 노사 간 입장 차이가 커 합의가 쉽지 않죠. 그래서 정부가 위촉하는 공익위원이 심의촉진구간을 제시하고, 그 안에서 위원들이 찬성·반대 투표로 최종 결정해요. 2009년도 최저임금을 정하는 2008년에는 노사 합의로 최저임금을 정했지만, 이후 16년간은 합의가 불발돼 표결로 결정했어요.
심의촉진구간이란 노사 간 입장 차이가 커서 핵심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면 공익위원이 최저임금의 상한 금액과 하한 금액을 제시해 협상을 촉진하도록 하는 제도예요.
최근 공익위원의 영향력이 커지다 보니, 최저임금위원회 규모를 현행 27명에서 약 15명 내외로 줄이는 논의가 진행 중이에요. 규모를 줄여 충분한 심의와 토론이 이뤄질 수 있게 하려는 의도죠. 또 결정 과정에서 물가상승률과 고용지표 등 객관적인 경제 지표를 반영하도록 하는 협상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에요.
최저시급 2026 계산
2026년 최저임금 얼마일까?
2026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320원으로, 2025년(10,030원)보다 약 2.9% 올랐어요.
월 소정근로시간(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 기준으로 계산하면 2026년 최저임금 월급은 2,156,880원이에요.
2026년 최저임금 인상률은 최근 5년 평균보다 낮아요. 역대 정부 1년 차 인상률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에요.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를 고려한 결정으로 해석돼요.
이번 최저임금은 공익위원안 표결이 아닌, 17년 만의 노·사·공 합의로 결정됐어요. 이는 1988년 최저임금 도입 이후 8번째예요.
그러나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는 목소리도 나와요. 공익위원은 2026년 최저임금의 심의촉진구간으로 10,210원에서 10,440원을 제시했는데요. 민주노총 위원들이 예상보다 낮은 심의촉진구간에 반발하며 회의장을 나갔어요. 결국 최저임금은 근로자위원 9명 중 5명만의 합의로 결정됐고요. 이에 공공운수노조는 2026년 최저임금 결정 이후, “정부와 공익위원이 짜놓은 틀 안에서 노동자들에게 저임금을 강요하는 형국”이라며 비판하기도 했어요.
주휴수당, 실업급여
최저임금 인상으로 달라지는 것들
내년 최저임금의 영향을 받는 노동자는 경제활동인구 부가 조사 기준 약 290만 명이 넘어요. 최저임금이 달라지면서 함께 달라지는 것들을 살펴볼게요.
노동자와 사용자가 근무하기로 약속한 날을 뜻해요. 즉, 노동자가 실제 일하기로 정한 날짜인데요. 공휴일, 노동자의 날 등 법정휴일과 휴가 등 약정휴일은 포함되지 않아요.
그 외 출산전후휴가 급여, 고용촉진장려금, 지역고용촉진지원금 등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다양한 정책이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받게 돼요.
2026 최저임금 FAQ
최저임금 자주 묻는 질문
최저임금이란 노동자의 기초 생활을 보장하고, 소득 격차를 줄여 사회 전체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돕는 제도예요. 매년 고용노동부 장관의 요청으로 최저임금위원회가 심의하고 결정해요.
2026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320원으로 정해졌어요. 2025년(10,030원)보다 약 2.9% 올랐어요.
월 소정근로시간(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 기준으로 계산하면 2026년 최저임금 월급은 2,156,880원이에요.
최저임금이 오르면 주휴수당, 실업급여 하한액, 출산전후휴가 급여 등 각종 지원금과 수당이 올라요.
3줄 요약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