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화. 시사점

투자와 투기 사이: 부동산, 주식, 암호화폐
23.06.14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저축은 투자와 투기를 오가며 경제 활성화, 최근 금리 상승으로 투기 수요 위축

○ 20여 년간 저금리로 자본이 넘치는 시기가 지속되면서, 자산가격이 상승하고 투기 수요도 증가

 

· 부동산가격 상승, 주가 상승과 함께, 암호화폐처럼 생산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상품시장에도 대규모 투기성 자금이 유입

 

○ 인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자산가치가 하락하면서 투자 옥석을 가리는 시기가 도래

 

· 채권가치 급락으로 미국 일부 은행이 파산하였고, 부동산가격 급락으로 건설 경기 후퇴 및 PF 부실 증가

 

· 주식 및 암호화폐는 투기성 여유 자금이 대거 유입되어 경제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오히려 높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빠르게 가격 안정화

개인의 투기가 생산 투자로 연결되는 부동산·금융 투자시장의 안정적 관리 필요

○ 예금은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은행의 지급 결제 권한 보호가 필요

 

○ 채권 역시 기업의 중요한 자금 조달 경로이며, 투기성 요소가 적으므로 경제적 혜택(세금 절감 등)을 지속적으로 부여할 필요

 

○ 부동산시장은 투기가 정상적인 노동력 유지 및 기업의 생산 능력을 훼손시키므로, 과도한 투기를 막기 위한 장치 유지가 필요

 

○ 주식시장은 투기가 시장을 유지하는 원동력이므로, 주가 조작, 대주주의 주주가치 훼손(물적 분할 등) 등을 방지하여 시장 투명성 보장이 필요

 

○ 암호화폐시장 같은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 완전 투기시장의 경우, 제도권 금융과의 연계를 까다롭게 하고 손실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주의 환기가 필요

총 6화

투자와 투기 사이 부동산, 주식, 암호화폐

가장 최신 시리즈예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