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2024년 4월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G2의 성장 견인과 각국의 통화정책 차별화, 꺾이지 않는 달러
24.04.01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Issue: SNB가 쏘아 올린 ‘금리인하 신호탄’

  • 3월 주요 선진국의 통화정책회의, 유로 ECB와 영국 BOE는 완화적, 스위스 SNB는 물가 둔화를 근거로 선진국 가운데 첫 금리인하 결정
  • 3월 미 FOMC 결과는 완화적, 경제전망 (SEP) 상향에도 연내 3회 금리인하 유지, 하지만 금리인하 기대는 약화, 미 금리 상승과 달러 강세 영향

Macro: G2 (미국·중국) 경기 개선이 글로벌 경기 회복을 견인할지 주목

  • 미국 경기 호조속 유로지역은 독일, 프랑스 부진으로 미국과 성장 격차 확대, 중국은 춘절 영향으로 주요지표가 예상을 상회하며 긍정적 출발
  • 지정학 리스크 및 중국 등에서 수요 회복으로 국제유가 오르면서 물가 상승압력으로 작용, 주요국 물가상승률 목표 달성은 지연될 전망

금리, 중앙은행간 통화정책 차별화의 시작 (4월 미국 10년 4.00~4.40%, 한국 10년 3.25~3.50%)

  • 주요 선진국의 3월 통화정책 이벤트 이후 보다 뚜렷해진 통화정책 차별화 흐름 –SNB 금리인하로유로와 영국의 조기 금리인하 전망
  • 일본의 금리인상을 제외하고 글로벌 중앙은행은 금리인하 수순, 미국 FOMC 이후 단기 금리 하락 (금리인하), 장기금리 약세 (추가 인하 지연)
  • 한국, 미국 국채 금리 연동에도 2월 금통위 이후 선제적 금리인하 기대 지속, 다만 4월 총선 등 정치적 이슈로 미국과 금리 차별화 가능성 상존 

환율, 꺾이지 않는 달러와 여전히 약한 원화 (4월 1,315~1,360원)

  • 달러는완화적 연준에도 여전히 양호한 미국 경제에 강세, 더욱이 유로화 및 파운드화는 연준보다 ECB의 선제적 금리인하 예상에 약세
  • 일본 엔화는 BOJ 추가 긴축 의구심에 약세 압력이나, 당국 개입 경계가 약세 폭을 제약, 위안화는 시장 불안 지속과 미중 금리차 확대에 약세 지속
  • 원화는 여전히 취약한 엔화 및 위안화에 동조하여 약세 흐름. 더욱이 4월 배당 시즌에 따른 달러 송금 수요 등에 환율은 상방 흐름 전망

4월 Macro & Market Calendar

4월 '전체 일정'이 적혀있는 표 이미지이다.

자료: Bloomberg, 인포맥스, Trading Economics,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각국 중앙은행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House View

'3월 동향'과 '4월 전망'에 해당하는 통화정책, 채권시장, 외환시장, 종합의견이 있는 표 이미지이다.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목차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