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전기차용 윤활유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 들어가는 윤활유(엔진오일)와는 성격이 다르다.

냉각과 2차전지 효율 향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전기모터와 기어의 열을 빠르게 식히고, 차량 내부에서 불필요하게 흐르는 전기를 차단하는 절연 기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내연기관차의 윤활유는 7000~1만㎞ 주행마다 교환해야 하지만 전기차 윤활유는 한번 넣으면 10만㎞ 이상 주행할 수 있다. 들어가는 양은 소량이지만 배터리 효율을 높이고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꼭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세계 자동차 시장이 전기차 위주로 재편되면서 전기차 전용 윤활유가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 전기차 윤활유 시장에는 뚜렷한 1등 업체가 없다. 품질 검증 작업이 이뤄질 만큼 시장이 성숙하지 않아서다. 업계에서는 자동차와 윤활유 업체 간 짝짓기가 어떻게 될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내연기관 윤활유와 달리 한번 들어가면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특성상 기업 간 거래(B2B) 사업으로 분류된다. 가격은 기존 윤활유에 비해 10~20%가량 비싸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세계 전기차용 윤활유 시장은 2020년 1000만L에서 2025년 6000만L로 여섯 배가량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460만 대 수준인 전기차 시장이 2040년 4억 대로 증가한다는 전제하에 이뤄진 계산이다.

업계에서는 전기차·하이브리드차 전용 유체 시장이 2030년 86억달러(약 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친환경이란 메가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는 물론 해외 윤활유업체도 전기차 전용 제품에 공을 들이고 있다”며 “현대차 등 완성차업체도 윤활유업체와 협력하는 등 제품 개발에 관심이 많다”고 설명했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공모주 수요예측

book-building

IPO를 통해 공모하는 주식을 기관과 외인 투자자들이 얼마에 얼마나 살 건지를 조사하는 제도.

수요예측을 통해 발행회사가 기업가치와 사업성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공모 희망가액을 내놓으면 기관투자가가 그 회사의 투자설명서, 중권신고서 등을 참고하여 매입수량 및 가격을 제시하게 된다.

개인투자자들이 공모할 경우에는 청약증거금을 납입해야 하지만 기관이나 외인 투자자들은 청약증거금이 필요없이 청약할 수 있다.

이런 제도적 허점 때문에 기관이나 외인은 인기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에 대해 "묻지마 베팅"에 나서기도 한다.

이로 인한 `오버베팅' 현상은 공모가를 높여 결국 개인투자자의 피해를 유발하는 주범으로 지목됐다.

2022년 초 LG에너지솔루션 공모가 가장 극단적인 사례였다. 이 회사는 전체 공모 금액 12조7500억원의 75%에 해당하는 9조5625억원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했는데, 공모주 청약에 참여한 680개 기관 중 86%에 해당하는 585곳이 최대 신청 수량인 9조5625억원어치의 공모주를 주문했다. 심지어 순자산 1억원의 펀드를 운용하는 운용사도 최대 신청 수량을 주문한 사례도 있었다. 수요예측 경쟁률이 2023 대 1까지 치솟고 총 주문금액이 1경5203조원에 달했던 이유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라이엇블록체인

Riot Blockchain

미국의 비트코인 채굴기업. 2022년 현재 채굴량 기준으로 북미 지역 2위 회사다.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으며 2022년 4월 20일 현재 시가 총액은 2조 250억원이다.

라이엇블록체인은 2000년 7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생명공학회사로 출발했다. 2017년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주력하기 시작하며 현재 사명으로 바꿨다. 회사 매출의 약 90%가 비트코인 채굴에서 나온다. 채굴한 비트코인 대부분은 라이엇블록체인 소유가 된다.

2021년말 회사가 보유한 비트코인은 4884개다. 마이클 콜로네세 크립토&블록체인 애널리스트는 “라이엇블록체인은 하루 평균 16~17개의 비트코인을 채굴할 수 있다”며 “비트코인 가격을 5만달러로 상정하면 회사는 하루 평균 82만5000달러(약 9억9900만원)의 채굴 수익을 내는 것”이라고 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면 뉴욕증시에서는 라이엇블록체인이 주목받는다. 최근 전체 비트코인 2100만 개 중 1900만 개의 채굴이 완료됐다. 전문가들은 2030년에는 비트코인 99%의 채굴이 끝나 신규 공급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 채굴 가능한 비트코인 수량이 줄어들었다는 점이 부각됐던 2016년과 2020년에 비트코인 가격은 상승세를 보였다. 비트코인의 희소성에 주목한 투자자가 몰려서였다.

라이엇블록체인 주가와 비트코인 가격의 상관관계는 분명하다. 김경민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지난 5년간 둘의 상관계수가 0.88이었다고 분석했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두 변수 사이 상관도가 강함을 의미한다. 비트코인 상승기에는 상관계수가 더 커진다. 비트코인 가격 상승기였던 2020년에는 0.96까지 올랐다.

매출도 가파르게 증가
라이엇블록체인 주가는 비트코인 가격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여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2020년 비트코인 가격이 307% 오르는 동안 라이엇블록체인 주가는 1000% 넘게 뛰었다.

매출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1년 라이엇블록체인의 매출은 2억13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665% 증가했다. 순손실은 2018년 5800만달러였으나 지난해에는 800만달러로 축소됐다. 인수합병(M&A)을 통해 몸집도 불려가고 있다. 2021년 경쟁사인 채굴기업 윈스톤을 인수했고 전기장비공급사 ESS메트론도 품었다.


비트코인에 비해 채굴기업이 집중적인 규제를 당할 위험이 크지 않은 것도 투자자의 눈길을 끄는 요인이다. 금융정보업체 팁랭크에 따르면 라이엇블록체인의 평균 목표주가는 44.25달러다. 2022년 4월 4일 종가(20.69달러) 대비 113.87%의 상승 여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