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크패턴 해석틀로서의 행동경제학

다크패턴, 전략과 기만 그 경계선 1화
시리즈 총 7화
2024.01.15

읽는시간 4

0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 합리화하는 존재다”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

○ 전통 경제학은 오랫동안 ‘인간은 합리적 판단과 행동을 하는 존재’라고 가정하고 이론적 기틀을 다져왔지만, 1980년대 중반부터 복잡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인간은 오히려 비합리적 의사결정을 더 자주 범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기 시작
 

○ 특히 행동경제학자 허버트 사이먼(Herbert A. Simon)은 인간이 의사결정을 할 때 논리적인 과정이나 명백한 추론으로 최적의 대안을 결정짓기보다 제한된 환경 속에서 가장 적당한 결과를 찾게된다는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¹’ 이론을 제시하며 주목
 

  • 이러한 제한적 합리성이라는 개념에 기반한 행동경제학은 20세기 이후 정부와 시장의 실패를 설명하는 도구로 부상² 했으며, 더 나아가 현실 속 인간의 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자리매김

    - 허버트 사이먼에 이어 ‘넛지’의 저자 리처드 탈러(Richard H. Thaler) 교수 역시 행동경제학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한 공로로 201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면서 행동경제학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고조

  • 기업들 역시 소비자들의 심리를 자극하여 이윤을 확대시키기 위한 도구로써 행동경제학을 비즈니스 전략에 활용하기 시작

    - 하지만 그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선택’이 유도되기 보다 ‘수익’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오히려 소비자를 기만하는 ‘다크패턴’ 형태로 변형

    - 일각에서는 소비자의 행동을 유도한다는 공통점을 부각시켜 ‘다크패턴’임에도 ‘넛지(Nudge)³’라고 주장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자의적인 해석을 경계하기 위해 둘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기준점이 필요

[표 1] 전통 경제학과 행동경제학의 차이점

'전통 경제학'과 '행동경제학'의 차이점을 정리한 표이다.

자료: 「제한적 합리성 이론에 따른 넛지디자인의 사회적 가치창출 요인분석」, 김진경

¹ 사람들이 선택과 의사결정을 할 때 제한된 정보, 시간, 지식 등으로 인해 완벽하게 합리적으로 판단하지 못한다는 개념

² 전통 경제학에서는 시장이 실패할 때나 공공재를 공급해야 하는 경우에만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행동경제학에서는 사람들이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에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좀 더 좋은 방향으로 선택을 유도하는 아이디어를 대안으로 제시

³ 2017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리처드 탈러가 본인의 저서에서 새롭게 정의한 용어로써 원래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 ‘주의를 환기시키다’라는 뜻이지만 저자는 ‘강압적이지 않게 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이라 재정의

권세환

KB경영연구소

권세환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