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미뤄지는 정책금리 인하로 불확실성 확대

2024년 5월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 3화
시리즈 총 5화
2024.05.07

4월 동향, 멀어지는 주요국 정책금리 인하 시기

  • 3월 스위스 중앙은행 (SNB)의 깜짝 정책금리 인하에도 주요국 중앙은행은 정책금리 동결 혹은 인상 (인도네시아, 대만) 결정
  • 주요국 금리동결 배경은 1)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 압력 (선진국)과, 2) 환율 방어 (신흥국) – 특히 미국 장기금리 상승에 동조화
  • 경기가 부진한 유로지역 등 일부 국가는 미국보다 앞서 정책금리 인하 단행 예상 – 유로지역 6월 금리인하 기대 상승
  • 반면, 글로벌 벤치마크인 미국은 5월 FOMC 회의에서 금리인하 및 금리인상 가능성 모두 차단

4월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결정 목록

인도네시아 4월 24일 수요일 6%에서 6.25%으로 '정책금리' 인상.

출처 : 각국 중앙은행 홈페이지

미국 금리, 경제지표 발표에 맞춰 상승세 지속

  • 미국 장단기 국채 금리는 연초 이후 상승 폭 확대 – 장기 10년물 금리 3.88%에서 4.71%까지 80bp 이상 급등
  • 특히 고용 및 소비자물가 등 핵심 경제지표 발표 후 금리 상승 폭 확대 - 4월 ISM 제조업 PMI 및 3월 소비자물가 발표 이후 급등
  • 미국 경제 호조로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 지연 전망이 상방 압력 가중 – 연초 6회 인하 전망, 4월에는 1~2회로 인하 기대 축소

미국 장단기 금리, 연초 이후 80bp 상승

미국 장단기 국채 금리는 연초 이후 상승 폭 확대하여,  장기 10년물 금리 3.88%에서 4.71%까지 '80bp' 이상 급등한 그래프이다.

출처 : Bloomberg

한국 금리, 미국보다 앞선 금리인하 기대감 유지

  • 한국 국고채 금리, 미 국채금리 연동 및 1분기 성장률 서프라이즈에 박스권 상향 돌파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연준 정책금리 인하 시점 지연에 통화정책 재점검 추진 – 기준금리 인하 시점 지연 예상
  • 미국보다 앞선 기준금리 인하를 위해 물가상승률 둔화 여부 주목 – 하반기 2% 초반 달성 여부 촉각, 공공요금 인상 변수

4월 한국 국고채 금리, 미 국채금리에 연동되어 상승

한국 '국고채' 금리, 미 국채금리 연동 및 1분기 성장률 서프라이즈에 박스권 상향 돌파 그래프이다.

출처 : Bloomberg

미국과 한국의 국채금리 상단 점검

  • 美연준 이코노미스트가 개발한 DKW Model을 이용, 미국의 장기 국채금리를 분해하여 금리상단 점검을 진행
    * DKW 모형: 장기 국채금리를 4가지 (단기 실질금리 평균, 기대인플레이션, 실질기간 프리미엄, 인플레이션 리스크 프리미엄)로 분해
  • 미 국채 10년물 금리의 상승요인은 기대인플레이션이 상당 부분을 차지, 국제유가가 장기금리 상승요인에 기여
  • 과거 국제유가 90달러 상회 시점을 토대로 미국 10년물 금리 상단을 추정한 결과 4.81~4.87%, 한국은 4.03%~4.06%로 분석

DKW 모형을 이용한 미국 국채금리 분해

'DKW 모형'을 이용한 미국 국채금리 그래프이미지이다.

출처 : Federal Reserve Bank,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재구성

국내외 채권시장 이슈

  • 5월 한국 국고채 발행계획 (국발계) 발표, 발행 규모는 15조 원으로 전월 대비 1조원 증가
  • 2024년 1월 11조원 발행에서 5월 15조원으로 4조원 증가 – 세수 부족, 세출 증가로 인한 국채발행 압력 강화
  • 시장에서는 세수 부족에 하반기 추가경정예산 예상, 하지만 1분기 성장률 서프라이즈 및 연간 성장률 상향 조정에 추경 부담 완화
  • 미국에서도 국채 리펀딩 규모 (QRA) 발표 – 2분기 2,430억 달러 발행으로 예상보다 410억 달러 증액, 미국 채권시장에 부담

한국 국고채 발행계획, 전월대비 발행규모 확대

'2024년 5월' 기준 단기물 4.8, 중기물 5, 장기물 5.1 그래프이다.

출처 : 기획재정부

금리 전망 Table

'2024년 5월' 금리전망 표 이미지이다.

출처 : KB 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전망 (2024.5.7)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