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반도체 수출 부진 원인과 자본유출 가능성 진단

2023년 4월 13일 경제 이슈 분석
시리즈 총 3화
2023.04.13

읽는시간 4

0

반도체 수출 부진으로 무역수지 적자 장기화 우려

  •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다운 사이클 진입으로 한국의 반도체 수출증가율은 2023년 1분기 전년동기대비 -40%로 급락 (2021년 29%, 2022년 1.0%)
  • 반도체 수출 부진에는 대외 수요 위축으로 인한 단가하락 및 물량감소 모두 영향
  • 메모리반도체 수출이 2022년 대비 반토막 난 상황에서 시스템반도체 수출마저 동반 하락하면서 반도체 부문의 수출 부진이 점차 심화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비메모리 부문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점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이 높은 한국에는 불리한 상황

메모리 및 비메모리 반도체 수출 동반 하락

2022년 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의 수출이 동반 하락함을 나타내는 그래프.

자료: KITA, IITP, KB국민은행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물량 회복과 하반기 단가 상승으로 점차 개선 예상

  • 2021년 말 시작된 이번 반도체 다운사이클은 2023년 2분기를 바닥으로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보이며,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먼저 회복될 전망
  • 중국 리오프닝 및 경기회복에 따른 반도체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
  • 반도체 경기 개선을 전제로 한국 수출 증가율은 2분기 이후 플러스로 전환 예상
    *다만 무역수지는 수출 개선에 따른 수출용 수입 증가와 원자재 가격 고공행진 여파로 적자기조는 지속될 전망

한국-미국 정책금리차 (역전) 확대로 자본유출에 대한 우려도 증가

  • 현재 한미 중앙은행은 정책금리 역전 폭은 -150bp까지 벌어진 상황
  • 한국은행이 최종금리 3.50%에서 긴축 사이클을 종료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연준은 추가 긴축이 예상되어 한미 정책금리차는 200bp까지 확대될 가능성
    *연준은 5월과 6월에 각각 25bp 정책금리를 인상, 최종금리 5.50% 예상

금리차 확대는 외국인 자본유출보다 내국인 자본 유출 요인

  • 시장금리차 확대 (한국금리 하락, 미국금리 상승) 시 외국인 증권 (주식 및 채권) 투자 유출입은 뚜렷한 변화가 없으나, 내국인 증권투자에서 순유출 유발
  • 환율변동성 확대는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에서 자본 순유출 유발
  • 글로벌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는 내국인 증권투자 순유입 유발

내국인 중심으로 자본 순유출 발생

1992년부터 2022년까지 '내국인 순투자'와 '외국인 순투자'를 비교해보면 '금리차 확대'는 '내국인 자본'의 유출이 원임을 알 수 있는 그래프.

향후 자본유출은 한미 금리차 확대 여부와 시장변동성에 따라 달라질 전망

  • 한미 금리차가 확대되는 가운데 시장변동성이 완화하면 급격한 자본유출입 움직임은 없을 것으로 예상
    *금리차에 민감한 내국인 증권투자 순유출이 증가하겠지만 하반기 예상되는 환율 변동성 완화로 외국인 순유입이 증가해 유출분을 상쇄할 전망
  • 다만 금리차가 커진 상황에서 은행실패 여파가 확산하여 금융불안이 심화하면 환율 및 주가, 금리 변동성이 확대하면서 내외국인 모두 자금 이탈 예상
  • 따라서 하반기에는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 필요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