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주차] 금융시장 전망(4) 금리

시리즈 총 5화
2023.06.05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미국채, 물가 재 반등 가능성과 수급 부담 등으로 금리 상승 압력 우세
  • 국고채, 금리 상승압력 다소 우세하나 펀더멘털 약한 모습으로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전망

금리 전망

인플레이션 재 반등 가능성과 수급 부담에 의한 금리 상승압력 우세

  • 금주 미국채10년 금리는 상승 압력이 우세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지표상 5월 ISM 제조업지수가 금리 상승세를 제한하는 역할을 했으나, 주말에 발표된 고용지표로 인해 인플레이션 재 반등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5월 고용지표를 좀 더 자세히 보면, 임금상승률이 4.3% (전년동월대비)로 전월보다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비농업고용자수가 다시 크게 증가해 미래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이와 더불어 부채협상 타결 이후 재무부의 자금조달 압력이 커질 수 있고, 주가 상승세도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수급 상으로도 채권 비우호적인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 국고채3년 금리도 상승 압력이 우세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금리의 상승압력과 더불어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위험선호도가 비교적 높은 모습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3% (전년동월대비)로 빠르게 안정되고 있고, 수출 부진도 이어지고 있는 등 펀더멘털이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국내 금리의 상승 압력은 미국 대비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