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와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자료에 따르면, ETF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어요.
ETF 유형 | 설명 | 주요 특징 |
지수형 ETF | 특정 주식 시장 지수(S&P 500, 나스닥 등)를 추종하는 ETF | • 시장 지수의 성과를 그대로 추종 • 분산 투자 효과 • 비교적 안정적인 성과 추구 |
섹터형 ETF | 특정 업종(자동차, IT, 반도체, 소비재 등)에 소속된 기업들로 지수를 구성해 추종하는 ETF | • 특정 산업에 집중 투자 • 미래지향적 업종이 주목받고 있음 • 산업의 성과에 따라 수익 변동 |
테마형 ETF | 투자자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시장의 테마를 형성하는 종목군에 투자하는 ETF | • 트렌드 및 사회 변화에 민감 • 높은 변동성 • 단기적 투자 전략으로 활용 가능 |
채권형 ETF | 국채와 우량 회사채 등의 채권지수를 추종하는 ETF | • 자유로운 매매 가능 • 분산 투자 가능 •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 |
원자재 ETF | 금, 원유, 구리 등 원자재에 투자하는 ETF | • 원자재 가격 변동에 따라 수익 결정 • 가격 변동이 큰 원자재 특성상 단기적 고수익을 얻을 수 있으나, 그만큼 위험이 큰 투자 |
부동산/리츠 ETF | 부동산 투자 신탁(REITs)에 투자하는 ETF | • 부동산 자산에 간접 투자 • 소액 투자 가능 • 안정적인 배당 수익 제공 |
레버리지/인버스 ETF | 기초지수 상승률의 2배를 추종하거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ETF | • 고위험 상품 • 일일 변동폭 기준 |
배당형 ETF | 높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식에 투자하는 ETF | • 안정적인 배당 수익 추구 • 배당 수익률이 높은 기업에 집중 투자 •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 |
가상자산 ETF | 가상자산 관련 지수를 추종하는 ETF(예: 비트코인 ETF) | • 비트코인 현물 ETF: 실제 비트코인에 투자 • 비트코인 선물 ETF: 비트코인 선물계약을 통해 간접적으로 가격 추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