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아파트’ 전세소멸, 가속될 듯

박원갑 박사의 5월 부동산이야기
2023.05.23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전세사기 사건으로 안전선호 심리가 반영 된 월세 선호
  • 아파트는 비(非)아파트와 다르게 전세수요 증가
  • 수급 불일치로 역전세난 더 이어질 듯

전세 제도에 대한 불신과 공포가 증가하면서 다세대, 다가구, 빌라, 연립주택, 다중주택 등 비아파트에서 전세를 찾으려는 임차수요(세입자)가 줄고 있다. 이에, 전세 위주의 우리나라 주택임대차 시장의 변화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비아파트에서 전세보증금을 떼이는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사회초년생 및 MZ세대를 중심으로 전세사기 트라우마가 강하게 생길 것이다. 세입자는 생존 차원에서 전세보다 월세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비아파트는 빠른 속도로 월세화가 진행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고 보증금 지키기도 상대적으로 쉬운 아파트는 전세명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전세를 안고 매입하는 갭투자 수요도 유입 될 수 있다. 최근 들어 아파트 전세거래량이 다소 늘어나고 있는 것이 그 방증이다.

 

또한, 아파트 전세거래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전세대출 금리가 연 3%대까지 낮아졌기 때문이다. 서울지역 아파트 전·월세 전환율은 연 4.5%수준으로 세입자 입장에서는 전세 대출이자가 더 저렴하여 월세보다 전세를 선택하는게 유리할 수 있다. 전월세 시장도 금리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비아파트에서 빠른 월세화는 집주인과 입주 세입자에게 골치가 아플 수 있다. 집주인은 새로운 전세 세입자를 구해야 기존 세입자를 내보낼 수 있다. 일종의 ‘보증금 돌려막기’다. 하지만 세를 구하려고 오는 사람은 전세가 아닌 월세를 원한다.

 

전세로 입주를 한다고 하더라도 보증보험이 가입되는 곳을 찾거나 보증금을 낮춘 준 전세나, 준 월세를 구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한동안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나타날 수 있다. 아파트 시장에선 ‘역전세난’이 풀리더라도 비아파트 시장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주택시장

지역별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 증감률

지역별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 증감률

자료: KB국민은행(3월 대비 4월 기준)

1. 매매가격 동향

  • 4월 전국주택매매가격 전월대비 하락
     *1월(-1.31) → 2월(-0.79) → 3월(-0.83) → 4월(-0.78)

 

  • 지역별 매매가격 동향
    - 수도권 : 서울, 경기, 인천 (하락)
    - 5대 광역시 : 5대 광역시 (하락)
     *부산(-0.84), 대구(-1.07), 광주(-0.35), 대전(-0.94), 울산(-0.51)
    - 기타 지방 : 전 지역 (하락)

2. 전세가격 동향

  • 4월 전국주택전세가격 전월대비 하락
     *1월(-1.98) → 2월(-1.45) → 3월(-0.93) → 4월(-0.71)

 

  • 지역별 전세가격 동향
    - 수도권 : 서울,경기,인천 (하락)
    - 5대 광역시 : 5대 광역시 (하락)
    - 기타 지방 : 전 지역 (하락)

3. 거래 동향

  • 평균 수준 회복
    *23년 2월, 주택매매거래량 4만 1191호 기록 전월대비 59.9%증가, 감소폭은 완만하게 둔화

주택 매매거래량 추이

주택 매매거래량 추이

자료: 한국부동산원

부동산시장 Trend

‘부동산 투자이민제’ 개편

법무부는 ‘부동산 투자이민제도’를 ‘관광휴양시설 투자 이민제도’로 명칭을 변경하고 제주, 인천(송도,영종,청라), 강원 평창(알펜시아), 전남 여수(경도), 부산(해운대, 동부산) 등 5개 지역의 부동산 투자이민제도 기간을 3년 연장하고 투자 기준금액을 10억원으로 상향하여 개편함.

용산 ‘토지거래허가구역’ 연장

국토교통부는 용산정비창 부지와 인근 한강로동, 이촌2 동 일대 13개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내년 5월 19일까지 연장한다고 밝혔음.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주거, 상업, 공업 등 용도별로 일정 면적을 초과하는 토지를 취득 시, 시·군·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함.

박원갑

KB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부동산 시장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균형 잡힌 시각, 미래를 읽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박원갑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