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ganese
은백색의 중금속 원소. 철보다 단단하지만 잘 부스러지는 성질을 지니며, 합금, 건전지, 화학 약품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된다.
원래 '망간'으로 불렸으나, 2005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현 국가기술표준원)이 과학기술용어 표준화 작업을 통해 '망가니즈'를 공식 표준 명칭으로 지정하였다. 다만 국립국어원에서는 여전히 '망간'을 표준어로 유지하고 있다.
정부는 2017년 망가니즈를 리튬, 니켈, 코발트, 텅스텐과 함께 '핵심 5대 광물' 중 하나로 지정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약 15억 톤의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양극재로 사용할 수 있는 풍부한 자원으로 평가된다.
2025년 기준 배터리 산업에서 망가니즈는 가격 경쟁력과 자원 접근성 면에서 중요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2025년 7월 기준 중국 내 망가니즈 가격은 톤당 29.45 CNY/mtu이며, 2023년 환산가 기준으로는 톤당 1,185달러로, 이는 코발트의 30분의 1 수준이다.
LG화학, 삼성SDI, SK온 등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들은 고가의 코발트 사용량을 줄이고, 저가의 망가니즈를 활용한 '하이망가니즈 양극재'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LG화학은 2027년 양산을 목표로 망간리치 양극재를, 에코프로비엠은 2026년 이전 OLO 양극재를, 포스코퓨처엠은 2028년까지 LLO 양극재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도 망가니즈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리튬 망가니즈 배터리 시장은 2022년 약 15억 달러 규모에서 2030년까지 3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10.5%로 전망된다. 중국 CATL은 LFP 배터리에 망가니즈와 알루미늄을 더한 M3P 배터리를 개발하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고 있으며,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망가니즈 공급망의 99%가 중국에 의존되어 있는 현실은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 배터리에 사용되는 산화망가니즈, 이산화망가니즈 등은 주로 중국에서 가공·정제되고 있으며, 중국은 2021년 '망가니즈 혁신동맹'을 결성해 생산과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확대에 따라 망가니즈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대비한 공급망 다변화 및 원료 확보 전략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금융용어사전
금융용어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