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보기] 일하는 법이 달라졌다, 스폿워크(Spot Work)의 부상

25.06.02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요약

❑ [개념] 스폿워크(Spot Work)는 필요에 따라 즉각적으로 채용되는 초단기 근무 형태로, 단기 아르바이트나 파트타임보다 더 짧게 하루 수시간, 주 1~2회 단위로 계속적인 고용 관계없이 일하는 방식을 의미


  • 긱워크(Gig Work)나 단기 아르바이트와 유사하지만, 현장 중심의 물류·제조·유통·병원·호텔 등의 업종에서 발생하는 ‘당일·초단시간’ 인력 수요를 빠르게 충족시켜 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

  • 스폿워크 서비스는 플랫폼 기반 실시간 중개, 30분 단위 업무, 당일 보상 시스템으로, 플랫폼이 근로자에게 보수를 선지급한 후 고용주에게 정산을 받는 ‘대체지불’ 방식을 채택하고 있음

❑ [성장 배경] 스폿워크 시장의 급격한 성장 배경에는 △디지털 플랫폼의 확산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 △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정부 정책 △기업의 인건비 효율화 노력 △근로자의 유연한 근로 선호 △직무 평가 시스템 고도화 등이 자리

❑ [확산 과정] 2010년대 후반부터 미국·유럽·아시아 등지에서 빠르게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통적인 고용 형태가 흔들리면서 유연근무제가 본격적으로 자리 잡음


  • [미국] 주 36시간 미만 초단기 근로자 비중이 2024년 31%를 차지하며 지난 10년간 2배 가까이 증가

  • [유럽] 초단기·비정형 근로자 보호를 위해 2024년 ‘플랫폼 근로자 보호 지침’을 최종 채택

  • [한국]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 수는 2024년 182만 명으로, ‘급구’ 등 초단기 일자리 중개 플랫폼 성장

❑ [영향] 기업들의 인력 운용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인적자원의 탄력적 활용을 통해 노동시장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긍정적 측면과 소득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는 부정적 측면이 공존


  • [기업] 전통적인 채용 방식 대비 인력 확보 시간이 평균 4시간 이내로 단축되고, 인건비의 최적화와 유연한 인력 운영이 가능

  • [근로자]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일하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고 한번에 여러 일을 병행하는 멀티잡을 통한 소득 다각화가 가능. 초단기·비정형 근무라도 장기 종사자는 상해보험이나 건강검진 등 복지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음

  • [노동시장] 전통적인 노동시장에서 소외된 고령자·경력 단절 여성 등 유휴 인력의 재진입 경로가 확대되고, 기존 고용 구조에서 벗어난 비정형 고용 확대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음

❑ [향후 전망과 시사점] 금융권은 향후 스폿워크를 비롯한 플랫폼 노동의 보편화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선제적인 대응과 투자를 통해 변화하는 고객의 삶에 밀착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


  • 근무 빈도·이력·평가 등의 정보를 신용평가에 반영한 ‘근로 평가 기반 개인신용평가’ 수요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스폿워커의 증가에 따라 탄력적인 소득에 맞춘 유연한 금융상품 선호 현상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 미국 핀테크 기업 비바파이낸스는 고용 기반 대출 모델을 도입해 소득이 적은 달에는 상환 금액을 줄이고 금전적 여유가 있을 때에는 상환 금액을 늘릴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고 있음

  • 금융기관은 단기 인건비 외상 결제, 보수 자동 정산 서비스, 인건비 한도 지원 상품 개발 등을 검토하여 기업의 인건비 부담 완화와 고용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음

  • 유연성과 실시간성이 강조되는 시대 흐름 속에서 금융권의 유연한 대응이 뒷받침된다면, 스폿워크가 근무 형태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