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폿워크의 개념 및 성장 배경

일하는 법이 달라졌다, 스폿워크(Spot Work)의 부상 1화
25.06.02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일본 도쿄, 구인 광고는 사라지고 QR코드만 남았다?

시부야의 한 편의점 앞. ‘구인 중’이라는 문구 대신 붙여놓은 QR코드에 시민들이 휴대전화를 갖다 댑니다. 클릭 몇 번이면 3시간 매장 근무에 지원할 수 있고, 퇴근 즉시 정산도 완료됩니다. 이른바 ‘스폿워크’입니다.


일본 최대 편의점 체인인 패밀리마트는 2023년부터 정규직 채용 대신 단기 근무 인력을 스폿워크 앱으로 연결하는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현재는 전국 3만 개 매장 중 1만 개 이상이 이 방식으로 인력을 수급합니다. 심지어 30분 단위 단기 근무 인력도 모집 가능하며, 실시간 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고용의 ‘질’도 관리됩니다.


스폿워크의 등장은 단순한 인력 수급 문제를 넘어 일하는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상징합니다.

○ 최근 일본에서 본업을 갖고 있으면서 부업으로 초단기 아르바이트를 하는 ‘스폿워크(Spot Work)’라는 새로운 근무 형태가 부상


  • 일본 최대 편의점 기업인 세븐일레븐과 패밀리마트는 2023년부터 ‘타이미(Timee)’와 같은 스폿워크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기 시작

[개념] 스폿워크는 단기 아르바이트나 파트타임보다 더 짧게 하루 3~4시간, 일주일에 1~2회 등 계속적인 고용 관계없이 일회성으로 단시간 일하는 방식을 의미

  • 단순히 인력을 연결하는 것을 넘어, 일하는 시간을 30분 단위로 세분화하여 인력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점이 특징

    - 예를 들어 점심 시간에 갑자기 손님이 몰리거나 직원의 병가로 공백을 메워야 하는 상황에서 활용 가능

  • 기업 입장에서는 검증된 인력을 수요에 맞춰 신속하게 매칭해 주는 B2B 중심의 온디맨드 인력 중개 플랫폼을 통해 채용하고 별도의 면접이나 이력서 제출 없이 곧바로 업무에 투입 가능

[차별점] 스폿워크는 주로 프로젝트성 단기 업무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긱워크(Gig Work) 나 단기 아르바이트와 유사하지만¹, 현장 중심의 물류·제조·유통·병원·호텔 등의 업종에서 발생하는 ‘당일·초단시간’ 인력 수요를 빠르게 충족시켜 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


  • (스폿워크) 플랫폼을 기반으로 즉시 투입되어 초단기간 일하는 형태로, 원하는 일과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무의 유연성과 자율성이 극대화된 현장 중심 근무 방식

  • (긱워크) 특정 업무를 완수하기 위해 단기간 고용되는 형태로, 업무의 유연성과 자율성이 높지만 배달·운전·가사 서비스 등 고용 안정성과 복지 혜택이 부족한 직종에서 주로 활용

  • (단기 아르바이트) 특정 기간 고용 계약을 맺고 반복적으로 일하는 형태로, 주로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며 근무 시간과 장소가 정해져 있고 업무의 자율성이 제한적임

¹ 일본에서는 스폿워크를 전통적인 긱워크(고용 계약 없이 플랫폼을 통한 도급 형태의 일)와 초단기 아르바이트(시간·일 단위의 고용 계약 형태의 일)의 상위 개념으로 정의하기도 함

스폿워크, 긱워크, 단기 아르바이트의 비교

항목 스폿워크 긱워크 단기 아르바이트
개념 초단기간 근무, 즉시 투입
단기·비정규 프로젝트
일정 기간 반복 업무
플랫폼 기반 필수
필수
선택적
업무 성격 현장 중심, 인력 공백 대응
전문성과 유연성
반복성 높은 단순 업무
예시 편의점 2시간 판매 보조 등
배달, 앱 개발 등
주말 카페 서빙 등

[특징] 스폿워크 플랫폼은 단순히 단발성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정보를 연결해 주는 데 그치지 않고 당일 보수를 지급하는 즉시 보상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음


  • 대부분의 스폿워크 서비스는 플랫폼이 근로자에게 보수를 선지급한 후 고용주에게 정산을 받는 ‘대체지불(代替支払)’ 방식을 채택

    - 고용주는 보수 계산 및 송금 업무를 생략할 수 있고, 근로자는 일을 마치고 곧바로 보수를 수령 가능

  • 이러한 서비스 구조는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하는 MZ세대, 프리터족, 외국인 유학생 등에게 강력한 장점을 제공하며, 기업 입장에서도 인력이 필요할 때 신속하게 채용 가능해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

[시장 규모] 일본에서는 스폿워크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노동시장에서 존재감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


  • 일본 스폿워크협회에 따르면, 2024년 9월 기준 타이미, 셰어풀(Sharefull) 등 4개 스폿워크 중개 플랫폼의 가입자 수는 2천500만 명을 넘어섬

  •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스폿워크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824억 엔으로 2022년 대비 27.2% 증가

  • 일본 최대 스폿워크 플랫폼인 ‘타이미’는 지난해 12월, 1천만 명이 넘는 가입자를 확보. 이는 2021년 12월에 200만 명을 넘어선 이후 3년 만에 5배 급증한 수치


    -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창업 10년 만인 2024년 7월,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 1천380억엔(약 1조 3천400억)을 기록하며 도쿄증시 상장에 성공

일본 스폿워크 시장 규모 추이

일본 '스폿워크' 시장 규모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일본 최대 스폿워크 플랫폼 ‘타이미’ 가입자 수

일본 최대 스폿워크 플랫폼 '타이미'의 가입자수가 점점 증가함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자료: 타이미

[성장 배경] 일본 스폿워크 시장의 급격한 성장 배경에는 △디지털 플랫폼의 확산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 △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정부 정책 △기업의 인건비 효율화 노력 △근로자의 유연한 근로 선호 △직무 평가 시스템 고도화 등이 자리


  • (배경①: 디지털 플랫폼의 확산) 온라인 플랫폼과 스마트폰 앱 등이 보편화되며 기업은 필요할 때 인력을 구하고, 근로자는 원하는 시간에 일하는 등 초단기 노동 수요자와 공급자의 실시간 연결이 가능

  • (배경②: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 고령자와 경력 단절 여성 등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참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²되면서 유연하고 부담 없는 근무 기회를 제공하는 스폿워크가 부상

    - 일본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24년 3,625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29.3%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

    - 일본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중 취업자 수는 2023년 약 914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13.5%를 차지하고 취업률은 25.2%를 기록

    - 일본 정부 및 관련 단체(실버인재센터 등)도 스폿워크 플랫폼이 고령자와 경력 단절 여성 등 유휴 인력의 노동시장 복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

  • (배경③: 노동시장 구조 변화와 정부 정책) 일본 정부는 실질 소득 정체 및 생활비 부담 등을 개선하기 위해 2018년 ‘부업·겸업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기업으로 하여금 직원의 부업을 공식적으로 허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음

    - 이 같은 정부 정책에 따라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에서도 직원의 부업을 허용하면서 2020년 이후 부업을 허용하는 기업 비율은 전체 기업의 50%를 넘어섬

    -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부업을 하는 직장인 비율은 2017년 3.6%에서 2023년 10%를 초과하며 3배 가까이 증가

  • (배경④: 기업의 인건비 효율화 노력)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많은 기업이 인건비 절감 전략의 일환으로 스폿워크를 활용하고 있음³

    - 총 인건비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11.9% 증가한 가운데, 일본 기업들은 업무 효율화와 인건비 절감을 위해 유연근무제를 도입하고 필요할 때만 인력을 투입하는 스폿워크를 활용하는 전략을 채택

  • (배경⑤: 근로자의 유연한 근로 선호) MZ세대를 중심으로 평생 직장보다는 여러 일을 병행하며 자유롭게 살아가기를 원하는 가치관이 확산하면서 스폿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

  • (배경⑥: 직무 평가 시스템 고도화) 인공지능(AI) 매칭 알고리즘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실시간 인력 배치와 근무자 평가 및 이력 관리가 가능해지면서 스폿워크 시장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크게 향상

    - 모바일 앱 기반의 실시간 매칭, AI 기반 인력 배치 최적화로 실시간 근무 교대, 일정 변경, 즉각적 소통이 가능

² Kyodo News, Sep. 15, 2024, “Japan's over-65s hit record high 36.25 mil., 1 in 4 working”

³ Backoffice Force, 2022.4.1, “人件費を削減したい!業務効率を落とさず人件費を削減する方法を紹介”

※ 본 보고서는 연구자의 개인 의견으로 KB경영연구소 공식 의견과 다를 수 있으며, 인용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