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비둘기 밥이 되어가는 달러, 원화는 할많하않

2025.9.24 달러/원 환율 1,389~1,397원 전망
25.09.24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완화적 연준에도 불구, 관세 협상 불확실성에 혼조 예상
  • [글로벌 동향] 파월 의장의 완화적 발언에 미 달러화 및 국채금리 하락
  • [마켓 이슈] 금리 메리트 약해지는 미 달러, 2026년에도 달러는 약세 압력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완화적 연준에도 불구, 관세 협상 불확실성에 혼조 예상

전일 달러/원 환율은 1,391원으로 소폭 하락 개장한 이후 장초반부터 상승세로 전환. 국내 증시 호조 및 반기말 네고 물량 출회에도 불구하고, 관세 협상 불확실성이 상방 압력으로 작용. 하지만 당국 개입 경계 레벨에 가까워짐에 따라 추가 상승이 제한되며 혼조, 오후장 내내 좁은 범위 등락하다가 전일 종가 대비 보합인 1,392.6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달러 약세에도 한미 협상 불확실성에 추가 상승하며 1,394.0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1.80원 상승한 1,392.3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약세에도 역외 거래를 감안해 소폭 상승 개장 예상. 파월 의장을 비롯한 연준 주요 인사들의 완화적 기조 확인. 이에 따른 글로벌 달러 약세가 달러/원 상방 압력을 완화

하지만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이 원화 약세를 자극하는 요소. 즉 완화적 연준 등 환율 하방 재료를 대미 투자 관련 불확실성이 일부 상쇄. 금일 환율은 상승 개장 뒤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하는 혼조세 예상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파월 의장의 완화적 발언에 미 달러화 및 국채금리 하락

전일 미 달러화는 연준 주요 인사들의 비둘기파적 발언에 약세.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07% 하락한 97.24pt 기록. 미셸 보우먼 부의장은 통화정책 결정에 있어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언급. 그녀는 노동시장 악화를 고려해 결단력 있게 금리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하향 경로에 있고, 노동시장은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평가. 그는 현재 금리가 중립 수준보다 100~150bp 높다며, 추가 인하 시사. 파월 의장은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 상방, 고용 하방 위험이 있지만 정책은 다소 긴축적이라고 발언

그는 관세로 인한 상품 물가 상승은 인정하면서도, 서비스 부문의 디스인플레이션을 강조. 고용에 대해서는 노동 공급과 수요가 모두 둔화하고 있으며, 고용 하방 위험이 커졌다고 지적. 한편 주식 등 자산 가격은 정책 결정의 기준이 되지 않으며, 증시는 현재 고평가되어 있다고 첨언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금리 메리트 약해지는 미 달러, 2026년에도 달러는 약세 압력

최근 주요국 중앙은행 간 통화정책의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미 달러에 약세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과거 15년의 시계에서 미국-비미국 2년물 국채금리차가 미 달러화 지수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 (R^2 = 0.647). 국채금리차는 9월 말 1.72%p에서 내년 말 1.27%p로 0.45%p 축소 예상 (컨센서스 대입)

이 경우 달러화 지수는 97.9pt에서 94.4pt로 완만한 하락 예상 (금리차 1%p 축소 시 미 달러화 지수 7.9pt 하락). 즉 달러의 금리 메리트가 약화함에 따라 달러가 약세 구도를 보일 확률이 높다는 판단

물론 전제가 틀리면 (금리차 확대), 결론도 틀릴 (달러 강세) 가능성 존재. 하지만 최근 미국 고용 둔화, 유로존 경기 회복세, 일본 물가상승 압력 등을 감안하면 아직까지는 전제가 합리적이라는 판단. 따라서 달러의 향방은 주요국 경제 펀더멘털과 통화정책 기조, 이에 따른 단기 국채금리 흐름이 핵심 변수

금리차와 달러의 관계, 중기적 달러 약세 압력

2010년 부터 2025년 까지 미국-비미국 2년 '국채금리차' 및 '미 달러화 지수'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추정 / 주: 비미국 금리는 DXY 구성 6개 통화 비중 적용하여 계산맥스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