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다시 불붙은 미중 갈등에 달러/원도 활활

2025.10.13 달러/원 환율 1,423~1,435원 전망
25.10.13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미·중發 위험회피에 국내증시 조정 및 원화 약세 압력
  • [글로벌 동향] 미 연방공무원 해고 개시, 미중 갈등이 위험회피심리 자극
  • [마켓 이슈] 미국 셧다운 장기화 조짐, 비미국 요인 해소 시 달러 약세 전환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미·중發 위험회피에 국내증시 조정 및 원화 약세 압력

전일 달러/원 환율은 프랑스 및 일본 정치적 이슈에 따른 글로벌 달러 강세에 갭 상승 개장. 이후 1,424원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나, 국내 증시 최고치 기록 및 외국인의 주식 순매수 등에 추가 상승은 제한적. 오후장에서는 일본 엔화에 연동하며 1,420원 부근 혼조, 전일 종가 대비 21.0원 상승한 1,421.0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위협에 따른 위험회피심리에 상승하며 1,427.0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12.60원 상승한 1,431.5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주말간 미중 갈등 여파와 역외 거래 감안해 1,420원대 후반에서 상승 개장 예상. 트럼프의 대중 관세 위협 및 중국의 보복 시사에 뉴욕증시 급락. 이에 국내증시 타격과 외국인 증시 자금 유출 불가피

이는 원화에 약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다만 미국 셧다운 장기화 조짐으로 인해 강 달러 압력은 다소 완화. 즉 미·중發 위험회피가 단발성에 그친다면, 달러/원 상승세도 진정될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미 연방공무원 해고 개시, 미중 갈등이 위험회피심리 자극

전일 미 달러화는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지속되는 가운데, 엔화 되돌림 및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 위협에 약세.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54% 하락한 98.86pt 기록.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은 정부 셧다운 상황 속에서 연방공무원의 해고가 개시되었다고 발표

다만 미 소비심리는 셧다운에도 크게 약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 미시건대 10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55.0pt로 전월대비 0.1pt 하락.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셧다운 장기화 시, 확정치가 예비치에서 큰 폭 하향 조정될 수 있다고 언급. 일본 엔화는 그간 급격한 약세에 대한 기술적 되돌림과 트럼프발 안전자산선호에 강세 전환

달러당 엔화 환율은 1.19% 급락한 151.18엔 기록.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를 비판. 그는 11월 1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0% 추가 관세와 미국산 소프트웨어 제품의 대중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할 것이라고 발표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미국 셧다운 장기화 조짐, 비미국 요인 해소 시 달러 약세 전환

10월 1일부터 시작된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10일 이상 이어지며 장기화 조짐. 과거 10일 이상 셧다운이 지속된 사례는 총 7번 (올해 제외). 당시 달러화 지수는 1979년 2차 오일쇼크 시기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 (글로벌 달러 약세). 미 달러화 지수는 과거 평균적으로 셧다운 2주차 구간에 진입하며 하락 폭 확대된 경향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정부지출 중단 효과가 누적됨에 따라 소비심리가 약화. 공공서비스 중단에 따른 사회적 비용 증가 등도 달러에 부정적 영향 미친 것으로 추정. 최근 글로벌 강 달러는 미국 내 요인보다는 프랑스 및 일본 정치적 이슈 등 미국 외 요인의 비중이 큼

따라서 향후 셧다운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미국 외 요인이 해소된다면, 달러 약세 전환 가능성 높다는 판단. 이 경우 달러/원 환율의 상승세도 일부 진정될 것으로 예상. 하지만 미중 갈등 및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 등 원화 약세로 인해 하락 전환은 어려울 전망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시기별 달러화 지수 추이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10일 이상 지속된 사례 시기의 달러화 지수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 주: T는 셧다운 시작 시점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