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Show Me The Dollar

2025.9.10 달러/원 환율 1,387~1,395원 전망
25.09.10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물가 경계, 중동 긴장, 달러 수요 수위에 1,390원 상회
  • [글로벌 동향] 미국 8월 물가 경계, 이스라엘의 카타르 공습에 달러 강세
  • [마켓 이슈] 스태그플레이션은 달러에 부정적, 안전자산선호 심리가 변수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물가 경계, 중동 긴장, 달러 수요 수위에 1,390원 상회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 고용 부진 여파에 따른 달러 약세에 1,386원으로 하락 개장한 뒤 80원대 유입되는 결제 수요에 장중 1,389원까지 반등. 이후 외국인의 주식 순매수 및 연준 금리인하 기대에 추가 상승은 제한되며 1,38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 전일 종가 대비 2.7원 하락한 1,387.9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국 고용지표 하향 조정에도 물가 경계, 중동 긴장 등에 혼조세 보이며 1,387.8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1.25원 상승한 1,386.7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강세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1,380원대 후반에서 개장 예상. 미국 고용 하향 조정에도 불구 8월 물가 경계, 이스라엘 공습 등이 달러 강세 자극

역내 수급적으로 지속되는 해외투자 수요 및 공급 병목 등 달러 수요 우위가 환율 상승 유발. 따라서 금일 환율은 보합권 개장 이후 물가 경계 및 위험회피심리에 완만한 상승. 수급 불균형이 심화할 경우 1,390원대 안착 예상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미국 8월 물가 경계, 이스라엘의 카타르 공습에 달러 강세

전일 미 달러화는 미국 고용 하향 조정에도 물가 경계 및 이스라엘 공습에 강세 전환.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34% 상승한 97.78pt 기록. 미 노동부는 QCEW 기반으로 연례 고용 벤치마크 수정치 발표. 이에 24년 4월~25년 3월 비농업 고용 수치는 기존보다 91.1만명 하향 조정

하지만 오늘 및 내일 발표될 미국 8월 물가 지표 경계가 달러 가치 지지. 컨센서스에 따르면, PPI 및 CPI는 전월대비 0.3% 상승할 것으로 예상. 한편 이스라엘은 카타르 수도 도하를 전격 공습하며 위험회피심리 자극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지도부 사살을 위해 공습 감행. 국제유가는 장중 2% 이상 급등, WTI는 0.59% 상승한 배럴당 62.63달러에 거래. 미 국채금리는 물가 경계 및 위험회피에 장단기물 모두 상승. 뉴욕증시는 고용 불확실성 해소 및 연준 금리인하 기대에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 기록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스태그플레이션은 달러에 부정적, 안전자산선호 심리가 변수

지난주 미국 고용 쇼크와 이번 주 8월 물가 (PPI, CPI) 발표를 앞두고, 스태그플레이션 경계 확산. 만약 미국 경제가 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이라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진다면, 달러는 약세 압력 받을 전망

경기침체 및 연준 인하에 따른 '금리 매리트' 감소는 달러 약세로 연결. 반면, 물가상승은 달러의 '구매력 약화'라는 점에서 역시 달러 약세 요인. 과거 실질금리와 달러의 관계를 보면,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인 시기에 달러는 대체로 약세. 즉, 금리 매리트 감소 및 구매력 약화 조합 하에서 달러는 약해지는 패턴 관찰

다만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 달러 강세가 나타날 수 있는 변수도 고려. 통상 미국 경기침체는 안전자산 선호를 유발해 달러가 강세인 경우도 존재. 하지만 현재는 달러 신뢰도가 약화되었다는 점에서 과거와는 다른 상황 (연준 독립성 훼손 등). 즉,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져도 과거처럼 안전자산 선호가 강하게 불거지진 않을 가능성

미국 실질금리 및 달러화 지수의 장기 추이

1976년 부터 2016년 이후 까지 미 2년물 '실질금리' 및 '미 달러화 지수'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 주: 음영은 미국 경기침체 기간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