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오늘은 왠지 타코(TACO)가 땡기는 날

2025.10.14 달러/원 환율 1,418~1,430원 전망
25.10.14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위험선호 및 당국 경계, 약 달러 압력에 하락 전환 예상
  • [글로벌 동향] 연방정부 셧다운 13일째, 미중 긴장 완화에 위험선호 회복
  • [마켓 이슈] 외환당국의 이례적인 구두 개입, 달러/원 하향 안정화 될까?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위험선호 및 당국 경계, 약 달러 압력에 하락 전환 예상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로 인한 위험회피심리에 1,430원으로 상승 개장한 직후 1,434원까지 추가 상승. 환율 상방 변동성 확대에 따른 외환당국의 구두개입에 상승 폭 축소. 하지만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의 순유출로 인해 하방 제약되며 전일 종가 대비 4.8원 상승한 1,425.8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중 긴장 완화에 따른 위험선호와 당국 개입 경계에 하락하며 1,424.5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1.05원 상승한 1,424.65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글로벌 달러와 역외 거래를 감안해 보합권 개장 예상. 미중 긴장 완화되며 글로벌 위험선호심리 확산. 전날 뉴욕증시 급반등 영향이 국내증시에 전이될 경우 원화에는 긍정적

한미 협상은 여전히 불확실하나, 당국 구두개입 등 경계 심리가 환율 상방 제약. 더불어 미국 셧다운 장기화로 인해 달러 약세 압력 가중되는 상황. 금일 환율은 위험선호 및 당국 경계, 글로벌 약 달러에 하락 전환 예상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연방정부 셧다운 13일째, 미중 긴장 완화에 위험선호 회복

전일 미 달러화는 연방정부 셧다운 지속되는 가운데, 미중 갈등 완화에 강세 전환.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41% 상승한 99.26pt 기록. 뉴욕 채권시장은 콜롬버스 날로 휴장이었던 가운데, 연방정부 셧다운은 13일째 지속. 베센트 장관은 셧다운이 실물경제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고 언급

셧다운 여파에 워싱턴DC의 주요 박물관은 일시 운영 중단. 뉴욕증시는 미중 무역긴장 완화에 3대 지수 모두 급반등.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걱정말라며 위험선호심리 자극. 베센트 장관 역시 양국 정상의 한국 회담 계획을 알리며 시장에 안도감 제공

중국 상무부도 희토류 수출의 '통제'일뿐 '중단'은 아니라며 유화적 제스쳐. 한편 애나 폴슨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고용 리스크를 강조하며 연내 2회 금리인하 주장. 그녀는 물가안정 달성에는 진전이 있지만, 고용 하방 리스크는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외환당국의 이례적인 구두 개입, 달러/원 하향 안정화 될까?

10월 13일 달러/원 환율이 장중 1,434원까지 급등하자, 외환당국은 1년 6개월 만에 구두개입 단행. 이 같은 이례적인 구두개입은 최근 환율의 상방 변동성이 확대되었기 때문으로 추정. 관건은 구두개입의 효과가 일시에 그칠지, 아니면 지속성을 갖고 환율 하향 안정에 기여할지 여부

지난 2024년 4월의 구두개입 당시를 살펴보면, 환율은 개입 시점 이후 19영업일 동안 약 50원 하락. 그 당시 외환당국은 구두개입에 그치지 않고, 실제 달러 매도를 통한 개입도 병행했을 것으로 추정. 당국이 분기마다 공개하는 시장안정조치 내역에 따르면, 외환당국은 24년 4~6월 3개월 간 58억 달러의 순매도 개입 진행

그 외에도 그 당시 미 달러화 지수가 하락하면서 대외적인 환율 하향 안정 요인으로 작용. 다만 그때와 다른 점은 현재는 한미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당히 크다는 점. 따라서 이 부분이 향후 환율 경로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판단

2024년 외환당국 구두 개입 당시 달러/원 추이

'외환당국' '구두 개입'이 있었던 2024년 4월 16일과 2025년 10월 13일의 달러/원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